저자(한글) |
ZHANG, Chuan-zhi,KANG, Zhen,DU, Guo-cheng,CHEN, Jian,YU, Xiao-bin |
초록 |
[목적]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C. glutamicum,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발효하여 얻는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Phe)의 생산량을 높였다. [방법] 직교 실험(Orthogonal experiment) 설계 및 반응 표면 최적화(Response surface methodology) 방법을 사용하여 종자 배지(seed medium) 및 발효 배지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하고, 재조합 C. glutamicum을 발효하여 얻은 L-Phe의 최적 종자 배지 및 최적의 발효 배지를 확정하였다. [결과] 재조합 C. glutamicum을 발효하여 얻은 L-Phe의 최적 종자 배지는 25.0g/L의 포도당(glucose), 25.0g/L의 옥수수 침지액(corn steep liquor), 15.0g/L의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1.0g/L의 황산마그네슘(Magnesium), 2.0g/L의 인산 이수소 칼륨(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2.0g/L의 요소(Urea)로 구성되고 pH는 6.8-7.0이다. 또한, 최적 발효 배지는 110.0g/L의 포도당, 7.0g/L의 옥수수 침지액, 25.0g/L의 황산암모늄, 1.0g/L의 황산마그네슘, 1.0g/L의 인산 이수소 칼륨, 2.0g/L의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 1.0g/L의 글루탐산(glutamic acid), 25.0g/L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으로 구성되고 pH는 6.8-7.0이다. 최적 배지 조건에서 L-Phe 생산량은 최대 9.14g/L에 도달하고 최적화를 진행하기 전 생산량 7.46g/L와 비교하면 22.5% 높아졌다. [결론] 직교 실험과 반응 표면 분석을 통하여 재조합 C. glutamicum을 발효하여 얻은 L-Phe 배지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하여, L-Phe의 생산량을 뚜렷하게 높이고 L-Phe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포도당, 옥수수 침지액, 황산암모늄 등 3개 핵심 요소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L-Phe의 발효 증폭에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