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genetic modification effect of rib operon and ribC gene in Bacillus subtil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A, Miao-miao,LIU, Lu,BAN, R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 리보플래빈(Riboflavin) rib 오페론(operon) 구성형 과발현(constitutively over-expression) 및 고초균(Bacillus subtilis)이 리보플래빈을 과다 합성하는데 대한 ribC 유전자(gene) 저수준 발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rib 오페론 구성형 과발현을 위하여 염색체(chromosome) 원위치에서 프로모터(promoter)를 수식하고 mRNA 안정제(stabilizer)로 mRNA 선도 영역(leader region)을 대체하였으며, ribC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수식하고 ribC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낮추었다. qRT-PCR 방법을 사용하여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수준에 대해 특성 표현을 진행하고 쉐이킹 플라스크(shaking flask) 발효를 통하여 재조합 세균의 바이오매스(biomass)와 리보플래빈 생산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련 유전자가 나타내는 유전 효과에 대해 특성 표현을 진행하였다. [결과] gsiB mRNA 안정제로 리보플래빈 오페론의 mRNA 선도 영역을 대체하여 상대적 발현 수준을 약 1,500배 높였다. ribC 유전자 프로모터 -35구역의 첫번째 염기(base) 'T'는 'C'로 돌연변이 하여 ribC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97% 이상 감소하게 하였다. 획득한 재조합 균주 LX34를 20g/L의 자당을 추가한 LB 배지에서 쉐이킹 플라스크 발효를 36h 동안 진행하여 2.1g/L의 리보플래빈을 축적하는 동시에 바이오매스는 명확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결론] gsiB mRNA 안정제를 사용하여 목표 유전자 혹은 오페론의 발현 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프로모터 -35구역 첫번째 염기의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는 ribC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rib 오페론 과발현과 ribC 유전자 저수준 발현은 세포가 과다 합성을 진행하게 하고 리보플래빈을 축적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cillus subtilis,Riboflavin,rib operon,ribC gene,mRNA stabilizer,고초균,리보플래빈,rib 오페론,ribC 유전자,mRNA 안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