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Historical retrospect on 'Introduction from the Sea' in CIT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AN, En-yuan,FAN, Xiang-guo,LIU, Ying,ZHU, Zheng-guang,WANG, Xiao-mei,XING, Ying-chun,LIU, Bao-xiang,HE, S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멸종위기야생동식물종국제무역공약'(CITES)은 '해상도입'을 해양생물의 국제무역 형태로 정의하였다. CITES는 최근 몇 년간 해양 종 자원의 관리에 힘썼으며 '전문어업조직과의 협력', '해상도입' 관리 및 '비위험성 판정(Non-detrimental Findings)'은 CITES가 해양 종의 관리 진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3가지 중요한 단계이다. 2006년, CITES와 유엔식량농업기구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에서 해양 생물종 관리에 관하여 협력 의향서을 체결하였다. 2013년, CITES 제16차 협약국 회의에서는 해양 생물종의 '해상도입' 관리 프레임을 표결 통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ITES 및 관련 국제 어업 조직의 회의 기록을 근거로 CITES 해양 생물종 관리 의제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돌아보았으며 '해상도입' 관리 제안이 CITES 협약국 회의에서 통과된 과정을 종합하고 CITES가 해양 생물종의 관리에 참여하는 미래 추세를 분석하고 전망하였다. '해상도입' 관리는 CITES가 해양 어업자원 관리에 참여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창조하였으며 이로 인해 공해 어업자원의 이익 분배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관련 부서에서 CITES 해양생물종의 관리 진전에 관심을 갖고 CITES 해양생물종의 관리 정책 및 기술 규칙의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해양 어업자원의 보호, 이용 및 관리 능력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7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ITES,fishery,marine species,conservation,management,Conference of the Parties,CITES,어업,해양 종,보호,관리,당사국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