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한국 전통 폐백음식의 이용실태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I)-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ISSN 1225-67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연정,이수영,한재숙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3-01-01
초록 본 연구는 한국전통음식인 폐백음식이 더 이상 퇴행되지 않고 보다 더 건전하고 바람직하게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대구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폐백음식의 이용실태와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백음식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음식은 술(80.0%), 밤 고임(73.8%), 대추고임(73.4%), 떡(65.9%), 폐백닭(57.8%), 육포(57.0%) 등의 순이었고 준비방법은 ldquo;폐백 음식 전문점에서 구입 rdquo;이 39.6%로 가장 높았고 ldquo;가정에서 직접 준비했다 rdquo;는 19.3%에 불과하였다. 2. 폐백음식을 이용한 동기로는 ldquo;형제자매의 결혼 rdquo;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폐백음식의 가짓수로는 ldquo;7 sim;10가지 rdquo;(42.2%)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식을 담는 용기로는 대바구니(30.6%), 구절판(24.8%), 목판(21.6%)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폐백음식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ldquo;필요하다 rdquo;가 62.0%, ldquo;필요 없다 rdquo;가 20.8%로 절반 이상의 많은 사람들이 폐백 음식을 필요한 음식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ldquo;반드시 필요하다 rdquo;고 생각되는 폐백음식의 종류로는 술(63.7%)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대추고임(47.0%), 밤 고임과 떡(46.7%), 엿(42.8%), 폐백닭(34.8%)의 순이었다. 4. 폐백음식이 필요한 이유로는 ldquo;우리고유의 전통 음식이므로 rdquo;가 8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ldquo;번거롭다 rdquo;가 41.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조리방법 을 쉽고 간소화하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5. 폐백음식에 대한 개선 의지는 전체응답자의 84.9%가 ldquo;개선해야 한다 rdquo;고 했으며, 개선 방안으로는 ldquo;전통의 맛을 유지하면서 현대감각에 맞는 음식 개발 rdquo;이 4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폐백음식은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으로 필요하지만 만들기가 번거롭고 조리방법이 복잡해서 전문점을 이용하는 경우가 높으므로 현대의 실정에 맞게 조리법의 간편화와 표준 레시피의 제시 등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더 그 이용이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폐백음식을 전통 그대로 답습하려고 집착하기보다는 사회적인 변화추세에 발맞추어 다소 간소하고 현대인의 기호에 부합될 수 있는 폐백음식의 개발과 개선 $.$ 보완을 해나간다면 전통적 폐백음식의 개념은 보다 더 새로운 의미와 뜻을 가진 현대적인 개념으로 발돋움 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폐백음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가지도록 개개인의 진정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고 여겨진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31192197394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yebaeck foods,traditional food,use,neces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