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s in actinobacterial proteomic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ZHANG, Yao,XU, Ping,LI, Wen-jun,TAO, Y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단배질은 생리 기능의 집행자이며 생명 현상의 직접적인 체현자이다. 단배질체학은 생물체 전부 혹은 일부 단백질이 생명활동에서 일으키는 작용과 기능을 말한다. 체학의 이론적 기초와 기술 방법이 점차 성숙함에 따라 단백질체학에 관한 연구는 역사이래 크게 발전하였다. 방선균(actinobacteria)은 인류의 생산과 생활에 매우 밀접히 연관되어있으며 항생소와 효소 제제를 생산하는 주요한 원천이다. 130여년의 방선균 시스템학 연구와 2001년 모드 균주의 전유전체 서열 측정 기술은 기능 유전체에 대한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기존의 유전체학과 전사체학을 비교했을 때, 방선균 단백질체학은 생명 현상을 더욱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발전할 수 있었고 연구자들의 높은 관심게 되었다. 최근 방선균의 단백질체학 연구는 복잡한 형태적 분화와 발육 과정, 특수한 환경 적응 능력, 식물과의 공생에 의한 질소 고정, 대사 메커니즘 및 특수 기능, 병원성 방선균의 질병성과 천연산물의 스크리닝 등 몇가지 연구 방향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이는 방선균 단백질체학의 더 나은 발전을 촉진하는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78834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ctinobacteria,proteomics,2-dimensional electrophoresis,mass spectrum,mechanism,방선균,단백질체학,2차원 전기영동,질량 스펙트럼,메커니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