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고구마 괴근 단백질체학 분석에 적합한 2차원 전기영동(2-DE)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호모게네이트법, 아세톤 침전법, TCA-아세톤 침전법, 페놀 추출법을 사용하여 고구마 괴근의 수용성 총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단백질 정량, SDS-PAGE, 2-DE 기술을 각각 사용하여 4가지 단백질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고구마 괴근 단백질의 우열을 평가하였다. Bradford 방법을 사용하여 0.5g당 신선한 고구마 괴근의 단백질 수율을 측정한 결과 각각 1.6mg, 2.4mg, 1.2mg, 1.9mg이었다. SDS-PAGE 분석 결과 호모게네이트법, 아세톤 침전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에서 분리한 밴드 수는 적었고 약 M r 20×10 3 위치의 저장단백질(storage protein) 함량은 높았다. TCA-아세톤 침전법, 페놀 추출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에서 분리한 밴드 수는 앞에서 언급한 2가지 방법에 비해 뚜렷하게 많았고 M r 20×10 3 위치의 저장단백질 상대적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2-DE 결과 호모게네이트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은 2-DE 분석에서 등전위점초점화(isoeletric focusing, IEF)를 거의 달성하지 못했고 젤의 알칼리 단부(alkaline end)에서만 소량의 단백질 반점을 발견하였다. 아세톤 침전법, TCA-아세톤 침전법은 호모게네이트법에 비해 우위성을 보였지만 단백질 반점의 수량은 여전히 적었다. 페놀 추출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에서 분리한 단백질 반점은 1,120개로서 가장 많았고 젤에 균일하게 분포하였으며 배경은 선명하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페놀 추출법은 고구마 괴근 단백질 2차원 전기영동 샘플 제작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