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study of different methods to extract protein from sweet potato tuberous roo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ONG, Bin,JIANG, Yu-song,FAN, Wen-qiao,ZHANG, Yi-z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고구마 괴근 단백질체학 분석에 적합한 2차원 전기영동(2-DE)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호모게네이트법, 아세톤 침전법, TCA-아세톤 침전법, 페놀 추출법을 사용하여 고구마 괴근의 수용성 총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단백질 정량, SDS-PAGE, 2-DE 기술을 각각 사용하여 4가지 단백질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고구마 괴근 단백질의 우열을 평가하였다. Bradford 방법을 사용하여 0.5g당 신선한 고구마 괴근의 단백질 수율을 측정한 결과 각각 1.6mg, 2.4mg, 1.2mg, 1.9mg이었다. SDS-PAGE 분석 결과 호모게네이트법, 아세톤 침전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에서 분리한 밴드 수는 적었고 약 M r 20×10 3 위치의 저장단백질(storage protein) 함량은 높았다. TCA-아세톤 침전법, 페놀 추출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에서 분리한 밴드 수는 앞에서 언급한 2가지 방법에 비해 뚜렷하게 많았고 M r 20×10 3 위치의 저장단백질 상대적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2-DE 결과 호모게네이트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은 2-DE 분석에서 등전위점초점화(isoeletric focusing, IEF)를 거의 달성하지 못했고 젤의 알칼리 단부(alkaline end)에서만 소량의 단백질 반점을 발견하였다. 아세톤 침전법, TCA-아세톤 침전법은 호모게네이트법에 비해 우위성을 보였지만 단백질 반점의 수량은 여전히 적었다. 페놀 추출법으로 추출한 단백질에서 분리한 단백질 반점은 1,120개로서 가장 많았고 젤에 균일하게 분포하였으며 배경은 선명하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페놀 추출법은 고구마 괴근 단백질 2차원 전기영동 샘플 제작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3050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weet potato tuberous root,protein extraction methods,SDS-PAGE,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2-DE),proteomics,고구마 괴근,단백질 준비,SDS-PAGE,2차원 전기영동,단백질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