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Xiao-xiang,LIN, Qing-sheng,YIN, Fei,HU, Zhen-di,CHEN, Huan-yu,SHEN, Bin-bin,CHEN, Xiao-fan,FENG, Xia |
초록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단백질체학 연구에 적용되는 샘플의 전처리 방법을 구축하였다. SDS-PAGE 전기영동 기술을 이용하여 TCA-아세톤 침전법, Tris-포화 페놀의 추출법, RIPA Lysis Buffer와 I-PER Reagent 직접 분해법 등 4종 방법을 사용하여 배추좀나방 유충의 총 단백질 추출 품질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4종 방법을 사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전체 단백질을 추출한 결과 그 추출률 간 차이가 유의수준에 도달했다. 그중에서 RIPA Lysis Buffer와 I-PER Reagent 2종 직접 분해법의 단백질 추출률이 가장 높았는데 각각 52.06 mg/g와 46.16mg/g이었다; TCA-아세톤 침전법의 추출률은 34.58 mg/g로서 적당한 수준이었다; Tris-포화 페놀 추출법의 추출률은 27.39 mg/g로서 가장 낮았다. SDS-PAGE 전기영동 분석 결과, Tris-포화 페놀 추출법을 이용한 단백질 스펙트럼 밴드의 분별률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단백질 밴드가 32가닥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17.0 kDa-245 kDa안의 범위에서 그 분포가 균일하였다; TCA-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한 단백질 스펙트럼 밴드는 그 수량이 30가닥이고 밴드가 뚜렷했으며 분별률이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부분적 단백질이 사라졌다; RIPA Lysis Buffer와 I-PER Reagent 2종 직접 분해법을 이용한 단백질 스펙트럼의 밴드 수량이 비교적 적었으며, 소분자 단백질의 밴드가 사라지거나 뚜렷하지 않았다. 단백질의 추출률과 밴드의 수량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결과, TCA-아세톤 침전법을 배추좀나방 단백질체학의 샘플 전처리에 적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