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Bimolecular Fluorescent Complementation System Suitable for Molecular Interaction in Cryphonectria parasitic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基因組學與應用生物學 = Genomics and applied biology
ISSN 1674-568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HI, Li-ming,LU, Qun-feng,YANG, Yan-yan,SHANG, Jin-jie,CHEN, Bao-sh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최근에 이분자 형광 상보 기법(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은 이미 생체 내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밤나무 줄기마름병균(Cryphonectria parasitica)에 적합한 생체 내 단백질 상호작용 검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미드 pCPXHY 2 와 pCPXG418을 골격으로,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pgd 촉진제가 통제하고 강화형 황색 형광단백질 EYFP를 리포터 유전자로 하며,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과 G418 저항성을 선발 마커로 하는 이중 플라스미드 시스템 pCPXHY 2 N155와 pCPXG418C156을 구축하였다. 플라스미드 pCPXHY 2 N155는 EYFP의 1~155번째 아미노산 잔기(residue)의 코딩 서열을 가졌으며, pCPXG418C156은 EYFP 유전자의 156~239번째 아미노산 잔기의 코딩 서열을 가졌다. 해당 플라스미드 시스템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이종 삼합체(Heterologous trimer) G 단백질의 β와 γ 서브유닛 유전자를 각각 pCPXHY 2 N155 위의 N155와 pCPXG418C156 위의 C156을 연결시켰으며, 이로써 재조합 플라스미드 pCPXHY 2 N155β와 pCPXG418C156γ를 얻었다. 또한, 이 두 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야생형 균주 EP155에서 동시 형질전환(cotransformation) 시켰다. 형질전환 균주에서 뚜렷한 황색 형광을 관찰하였기 때문에 Gβ와 Gγ가 세포에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이분자 형광 상보 시스템은 앞으로 밤나무 줄기마름병균의 분자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6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ryphonectria parasitica,Yellow fluorescence protein,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Protein interaction,밤나무 줄기마름병균,황색 형광단백질,이분자 형광 상보 시스템,단백질 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