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고 해발, 저 기온 및 산소가 부족한 조건에서 토양 환경 내 미생물의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징과 대사 산물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법: Hungate 혐기성 조작 기술을 이용하여 티벳 나무춰(Namtso, Tibet) 고산 초원 토양에서 장구균 균주(Enterococcus strain) CJ-1을 분리하였다.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징 분석 및 16S rRNA 염기서열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하여 해당 균주의 계통발생학적 지위를 확정하였다. 결과: 균주 CJ-1은 조건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 그람 양성균(Gram-positive)으로서 균체는 불규칙한 구형을 띄며 지름은1 mu;m-1.5 mu;m, 편모가 없고 운동하지 않으며 구슬형 혹은 쌍으로 배열되어 있다. 생장 온도 범위는 10℃-50℃(최적 온도는 25℃); PH 범위는 5.0-8.5(최적 PH는 7.0); NaCl 농도는 0%-7%(최적NaCl농도는 5%)였다. 포도당, 리보오스, 멜레치토오스(melezit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등 여러 가지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셀로비오스를 발효시켜 얻은 산물은 젖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CO2, H2 그리고 소량의 뷰티르산 등이 있다. 균주 CJ-1의 (G+C)Mol%는 39.2%이다. Enterococcus aquimarinus(CCM7283)와의 유사성은 95.9%에 달한다. 또 해당 균주는 셀로비오스를 이용하여 메탄가스 발효과정에서 중간 대사물로 대신될 수 있다. 결론: 균주 CJ-1은 저온에 강한 장구균으로써 셀로비오스 등을 분해할 수 있으며 적응성이 강하고 발효과정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어 Enterococcus namtsoensis로 잠정하였고 기준주는 DSM23475T(=ACCC 00521T)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