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nterococcus strain from Tibetan alpine meadow soi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Lei,Deng, Yu,Zhang, Hui,Diao, Qing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목적: 고 해발, 저 기온 및 산소가 부족한 조건에서 토양 환경 내 미생물의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징과 대사 산물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법: Hungate 혐기성 조작 기술을 이용하여 티벳 나무춰(Namtso, Tibet) 고산 초원 토양에서 장구균 균주(Enterococcus strain) CJ-1을 분리하였다.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징 분석 및 16S rRNA 염기서열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하여 해당 균주의 계통발생학적 지위를 확정하였다. 결과: 균주 CJ-1은 조건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 그람 양성균(Gram-positive)으로서 균체는 불규칙한 구형을 띄며 지름은1 mu;m-1.5 mu;m, 편모가 없고 운동하지 않으며 구슬형 혹은 쌍으로 배열되어 있다. 생장 온도 범위는 10℃-50℃(최적 온도는 25℃); PH 범위는 5.0-8.5(최적 PH는 7.0); NaCl 농도는 0%-7%(최적NaCl농도는 5%)였다. 포도당, 리보오스, 멜레치토오스(melezitose), 셀로비오스(cellobiose) 등 여러 가지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셀로비오스를 발효시켜 얻은 산물은 젖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CO2, H2 그리고 소량의 뷰티르산 등이 있다. 균주 CJ-1의 (G+C)Mol%는 39.2%이다. Enterococcus aquimarinus(CCM7283)와의 유사성은 95.9%에 달한다. 또 해당 균주는 셀로비오스를 이용하여 메탄가스 발효과정에서 중간 대사물로 대신될 수 있다. 결론: 균주 CJ-1은 저온에 강한 장구균으로써 셀로비오스 등을 분해할 수 있으며 적응성이 강하고 발효과정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어 Enterococcus namtsoensis로 잠정하였고 기준주는 DSM23475T(=ACCC 00521T)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3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nterococcus namtsoensis,biodegradation,appraisal,Enterococcus namtsoensis cllulose utilization identify,장구균,생물 분해,감정,Enterococcus namtsoensis cllulose utilization ident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