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aO3 단결정 내의 Fe3+ 상자성 불순물 이온에 대한 에너지 준위 계산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ISSN | 1598-5385, |
ISBN |
저자(한글) | 염태호,윤달호,이수형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_3$ 단결정 및 비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_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도핑된 $Fe^{3+}$ 상자성 불순물 이온의 바닥 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였다. $LiTaO_3$ 단결정 내에서 육방정계 대칭성을 갖는 $Fe^{3+}$ 이온의 전자 상자성 공명 상수인 분광학적 분리인자 g 및 영자기장 갈라지기 D 값을 이용하여 6개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였다. 자기장을 결정학적 주축 ([100], [001], [111])과 나란하게 가하여 자기장을 증가시켜 감에 따라 얻은 에너지 준위 갈라지기는 자기장을 가한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내었다. ${ mid}{ pm}5/2$ gt; ${ leftrightarrow}{ mid}{ pm}3/2$ gt;및 ${ mid}{ pm}3/2$ gt; ${ leftrightarrow}{ mid}{ pm}1/2$ gt; 사이의 전이에서 계산한 영자기장 갈라지기 값은 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_3$ 단결정과 비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단결정의 경우에 각각 12.300 GHz, 6.150 GHz와 59.358 GHz, 29.679 GHz이다. 결정성장 조건에 따라 에너지 준위가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1964088247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lt,TEX gt,$LiTaO_3$ lt,/TEX gt,단결정, lt,TEX gt,$Fe^{3+}$ lt,/TEX gt,이온,전자 상자성 공명,에너지 준위, lt,TEX gt,$BiVO_4$ lt,/TEX gt,single crystal, lt,TEX gt,$Fe^{3+}$ lt,/TEX gt,ion,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energy lev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