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vestigation on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Magnetic Reversal Mechanism of NiCo/Cu Multilayer Nanowir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航空學報 = Acta aeronautica et astronautica sinica
ISSN 1000-68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Hao-zhe,ZENG, Min,LIU, Xiao-fang,YU, Rong-hai,ZHONG, Hua-sheng,LI, Ye-sheng,CHEN, Yi-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전기화학적 증착(electrolytic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알루미나 템플레이트(Porous alumina template)에서 NiCo/Cu 다층 구조 나노선을 제작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여 나노선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표징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결과, 계단형 전위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작한 강자성층(Ferromagnetic layer)의 두께는 100 nm였으며 비강자성층의 두께는 10 nm였다. 선택 구역 전자회절(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기술과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기술을 결합하여 다층 나노선의 격자 구조는 면심입방정(face center cubic) 구조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층 나노 행열의 미세구조를 분석한 후 시료진동형 자력계(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를 이용하여 자기이력곡선(Hysteresis loop)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Co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층 나노선의 보자력이 높아졌다. 다층 나노선의 Co 함량이 10%와 30%일 때, 자화 용이축(Easy magnetization axis)은 나노선에 수직되어 있었으며 Co 함량이 70%와 90%일 때, 자화 용이축은 나노선과 평행되었다. 최종적으로 나노선의 자화 역전 메커나즘에 대하여 마이크로 자기학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추가 자기장이 나노선과 수직될 때 자화 역전 메커니즘은 핵생성 메커니즘이었으며, 추가 자기장이 나노선과 평행될 때 자화 역전 메커니즘은 컬링 메커니즘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4434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lectrolytic deposition,nanowires,microstructure,magnetic behavior,magnetic reversal mechanism,전기화학적 증착,나노선,미세구조,자기 특성,자화 역전 메커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