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fire on soil properties in a Dahurian larch forest in Great Xing'an Mountai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KONG, Jian-jian,YANG, J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산불(wildfire)은 북방 침엽수림(boreal coniferous forest )의 중요한 조성 부분으로써 삼림 생태계의 양분 순환(nutrient cycle)을 촉진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본 논문은 산불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 다싱안링(Great Xing'an Mountains) 후중(Huzhong) 자연보호지역에서 2010년과 2000년 산불이 발생한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으며, 또한 부근의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을 선택하여 대조 샘플 지역으로 하였다. 그리고 산불이 미치는 영향을 받은 토양의 물리화학적 지표 및 미생물 지표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 그룹에 비하여 산불 발생 1년 후 잎갈나무(Dahurian larch) 수림의 토양 성질은 뚜렷하게 변화되었다. 해당 변화는 토양 수분(soil moisture), 유기물층 두께(organic matter depth), 탄소/질소(C/N) 비율은 뚜렷하게 감소되었지만 토양 pH값, 암모니아성 질소(ammonium nitrogen) 및 질산성 질소(nitrate nitrogen)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되었고, 또한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 및 질소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산불 발생 11년 후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대조 그룹에 비하여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토양 미생물량은 대조 그룹에 비하여 뚜렷하게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불 발생 후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복원이 비교적 빠르지만 산불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장기적임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산불 발생 후의 토양 양분 관리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9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ildfire,soil property,microbial biomass,Dahurian larch,Great Xing'an Mountains,산불,토양 성질,미생물 바이오매스,잎갈나무,다싱안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