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REE FACTORS AFFECTING THE FLUSHING IN THE TAMPA BA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Jun,HAN, Shu-zong,ZHENG, Lian-yu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2001년 가을철을 사례로, 탬파만(Tampa Bay)의 물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 즉 조석, 하천류 및 바람 등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우선, 3개 실험 그룹 즉 조석 작용 그룹, 조석+하천류 작용 그룹, 조석+하천류+바람 작용 그룹 등을 설치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조석만 작용할 경우, 탬파만 조석이 약하고 조석 회유가 짧음으로 인해 탬파만과 그 인근 해역의 물 교환은 주로 만 입구 부근에서 발생하였다. 조석과 하천류가 공동으로 작용하는 경우, 하천류 및 만 입구 내 해수 염도의 다름으로 인해 수평선상 밀도 구배가 형성되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생기는 수평선상 밀도 구배력의 작용을 받아, 탬파만에서는 표층에서 만외로, 저층에서 만내로 유동하는 중력 순환(Gravitational circulation)이 형성됨과 더불어, 탬파만과 그 인근 해역의 물교환이 강화되었다. 만내에서 만외 방향(2001년 가을철 평균)으로의 바람 응력은 만외로 흘러드는 표층류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수압 경도력의 역전을 발생시켜 만 입구에서 만 꼭대기로 향해 흐르도록 하였는데 이는 만내로 흘러드는 저층류를 강화하였으며, 또한 표층류 및 저층류의 강화는 최종적으로 탬파만과 기타 인근 해역의 물 교환을 촉진시켰다. 항로 내에서, 수심이 깊고 레일리 수가 클 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의 중력 순환이 비교적 강하여 양측의 천수역보다 항로 내의 물 교환능력이 비교적 강하였다. 그 외, 본 논문에서는 탬파만 물 교환의 공간적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Old Tampa Bay의 서족 및 북쪽에서는 체류시간이 가장 긴 외, 물 교환능이 가장 약하였다. 해양 생태 재해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향후 해당 지역에서는 생태 환경 보호를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lushing,residence time,Tampa Bay,FVCOM,물 교환,체류시간,탬파만,비구조 격자 수치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