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2001년 가을철을 사례로, 탬파만(Tampa Bay)의 물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 즉 조석, 하천류 및 바람 등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우선, 3개 실험 그룹 즉 조석 작용 그룹, 조석+하천류 작용 그룹, 조석+하천류+바람 작용 그룹 등을 설치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조석만 작용할 경우, 탬파만 조석이 약하고 조석 회유가 짧음으로 인해 탬파만과 그 인근 해역의 물 교환은 주로 만 입구 부근에서 발생하였다. 조석과 하천류가 공동으로 작용하는 경우, 하천류 및 만 입구 내 해수 염도의 다름으로 인해 수평선상 밀도 구배가 형성되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생기는 수평선상 밀도 구배력의 작용을 받아, 탬파만에서는 표층에서 만외로, 저층에서 만내로 유동하는 중력 순환(Gravitational circulation)이 형성됨과 더불어, 탬파만과 그 인근 해역의 물교환이 강화되었다. 만내에서 만외 방향(2001년 가을철 평균)으로의 바람 응력은 만외로 흘러드는 표층류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수압 경도력의 역전을 발생시켜 만 입구에서 만 꼭대기로 향해 흐르도록 하였는데 이는 만내로 흘러드는 저층류를 강화하였으며, 또한 표층류 및 저층류의 강화는 최종적으로 탬파만과 기타 인근 해역의 물 교환을 촉진시켰다. 항로 내에서, 수심이 깊고 레일리 수가 클 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의 중력 순환이 비교적 강하여 양측의 천수역보다 항로 내의 물 교환능력이 비교적 강하였다. 그 외, 본 논문에서는 탬파만 물 교환의 공간적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Old Tampa Bay의 서족 및 북쪽에서는 체류시간이 가장 긴 외, 물 교환능이 가장 약하였다. 해양 생태 재해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향후 해당 지역에서는 생태 환경 보호를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