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s in Medical Science Journals: An Analysis of Subheadings in Structured Abstract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ISSN | 2466-2542,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본 논문은 의학분야 논문가운데 구조적 초록만을 선별하여 소표제들을 분석함으로서 문헌정보학 관점에서 의학분야의 논문초록양식에 소표제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다양한 의학분야 가운데 암, 윤리, 유전학, 감염성 질환, 신경과, 소아과, 면역학, 정신의학 및 심장학의 9개 세부분야를 선택하였고,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샘플 데이터로 출판된 논문초록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최근 초록인 2010년부터 2015까지 5년 동안 출판된 초록들로 제한하였다. 연구는 추출된 샘플들의 양상과 구조적 형식에서 사용된 소표제들의 변종과 변종의 빈도 수 등을 분석하였다. 요약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다수의 세부 의학분야에서 출판되는 논문들은 구조적 초록이 아닌 비구조화 초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2) 의학분야의 논문에서는 소표제 항목을 평균적으로 4.1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으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부제는 OBJECTIVES(목적), METHODS(방법), RESULTS(결과), CONCLUSIONS(결론)이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들과 보고된 소표제 분석결과가 의료과학 저널 편집자와 의학 및 문헌정보학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375289878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구조적 초록,비구조적 초록,이동마디,목적,소표제,방법,결과,결론,Structured abstracts,Traditional abstracts,Moves,Subheadings,Objectives,Methods,Results,Conclus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