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dvances in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infectious diseases outbreak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Guo-dong,ZHANG, Jun-hua,JIAO, Geng-jun,ZHAO, Zi-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글로벌 기후변화는 전염병 발생, 전파 및 변화의 각 고리에 영향을 미쳤으며, 병원체 및 그 보균자(carrier), 전파 경로와 인체 자체 저항력 등 분야로부터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전염병의 발병 추세에 이르렀고, 이로써 인류건강에 대해 극심한 위협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기후변화와 전염병 사이의 관계를 강화하고, 일기예보 연구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전염병의 발생에 대한 더한층의 인식, 예방과 제어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본 논문은 글로벌 기후변화가 생물 종의 지리적 분포와 인류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서술하였다. 기후변화는 생물 종의 지리적 분포 범위를 변화시켰고, 일부 종의 잠재적 분포 지역을 증가하여 생물 물후기를 변화시켰다. 동시에 극단적인 기후 사건은 개체군 개수 파동의 중요한 구동력으로 되었다. 기후변화는 인류건강에 직접적 및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전염병의 발병률을 증가시켰고, 전염병 분포범위를 확대시켰으며, 질병에 대한 인류집단의 병걸림성(Susceptibility)을 강화시켰다. 기후변화가 말라리아(malaria), 뎅기열(dengue fever), 콜레라(cholera), 유행성 B형 뇌염(Epidemic encephalitis B), 인플루엔자(influenza), SARS, 장 감염 질환(Intestinal infectious diseases), 흑사병(plague),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 등 흔히 보는 전염병 메커니즘과 전파 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 진전을 서술하였다. 또 전염병과 기상인자 관계 분석 중에서 흔히 이용되는 정성(qualitative) 및 정량분석방법을 서술하였는데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정성 분석을 주요로 하였으며 방법은 비교적 단일하였다. 현재, 유행병학 자료를 이용하여 동기의 기상인자와 단일요소관련분석, 다원회귀분석을 진행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구방법이다. 주성분 회귀분석, 점진적 판별분석, 회색관련분석법, RS와 GIS 등 방법은 최근 몇 년동안 점점 많이 응용되었다. 수학 모델링, 실험실 생물학적 시뮬레이션 실험방법은 향후 강화해야 할 방향이다. 중국 내외 연구에서 해당 연구분야가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와 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제안하였으며, 현재의 연구현황과 존재하는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의 연구중점과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7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limate change,infectious disease,relationship,review,기후변화,감염증,관계,연구 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