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togenetic Analysis of Reciprocal Hybrids Reveals a Robertsonian Translocation between Mud Loach ( lt;TEX gt;$Misgurnus$ lt;/TEX gt; lt;TEX gt;$mizolepis$ lt;/TEX gt;) and Cyprinid Loach ( lt;TEX gt;$M.$ lt;/TEX gt; lt;TEX gt;$anguillicaudatus$ lt;/TEX gt;)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
ISSN | 1225-8598, |
ISBN |
저자(한글) | Lee, Seung-Ki,Kim, Dong-Soo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미꾸라지, 미꾸리 및 상반교배를 통해 유도된 종간 잡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염색체 수는 각각 2n=48 (12M+4SM+32A), 2n=50 (10M+4SM+36A)이었고, 잡종군들의 염색체수는 각각 2n=49 (11M+4SM+34A)였다. 모든 그룹의 염색체는 동일한 arm number (NF=64)를 갖고 있었으며, 염색체 다형현상, 암수 간 이형의 염색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적혈구의 크기, DNA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잡종군들은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중간 값을 나타냈다. 염색체의 NORs (nucleolar organizing regions)은 모두 동일한 중부염색체 단완부에서 Ag-positive signal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미꾸라지의 1번 중부 염색체와 미꾸리의 차단부 염색체가 Robertsonian 형의 염색체 전좌 과정을 거쳤을 것을 시사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21735562331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미꾸라지,미꾸리,잡종,핵형,Misgurnus mizolepis,Misgurnus anguillicaudatus,reciprocal hybrids,karyotype,genome size,Ag-N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