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earch Progress on Biological Effect of Endosulfa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技術通報 = Biotechnology bulletin
ISSN 1002-546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Dan,LI, Shuai,ZHANG, Min,SUN, Ye-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엔도설판(Endosulfan)은 하나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고 인류의 수많은 질병의 발생과 밀접히 연관되어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비록 2011년 스톡홀름 협약(Stockholm Convention on Organic Pollutants)에서 사용금지물질의 목록(Annex A)에 들어갔으나 엔도셀판의 잔류성, 생물농축성(bioconcentration) 및 높은 생물학적 독성(high biological toxicity) 등 환경 거동의 특성으로 인해, 잠재적 발암 돌연변이원성 및 내분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 환경호르몬)의 작용이 일어나 환경 및 인류의 생명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몇 년간 엔도설판과 관련된 환경 거동, 생물 독성 및 인류에 대한 위해 등을 개괄하였으며 엔도설판의 세포 독성을 중점적으로 귀납적으로 정리하면서 심도 깊게 분석하였으며 또한 향후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가치성 있는 건의를 제안하였다. 희망하건대 엔도설판이 사용 금지된 이유가 잘 알려지길 바라고, 동시에 엔도설판을 포함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생물학적 효과 메커니즘을 제시하는데 새로운 방향이 되길 바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7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ndosulfan,Persistent organic pollutants,Biological toxicity,Carcinogenicity,Mutagenicity,Endocrine disruptor,엔도설판,잔류성 유기오염물질,생물 독성,발암성,돌연변이원성,내분비교란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