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 적: 미세혈관 조영술은 조직의 얇은 절편을 X선으로 조사하여 미세혈관의 전반적인 분포 및 개별적인 혈관의 형태학적 구조를 혈관의 전장에 걸쳐서 관찰할 수 있는 방사선학적 검사방법이다. 이에 저자들은 잔혈관 분포의 해부학적 기본구조를 관찰하고, 간질환의 병리학적인 변화를 이해하는데 기초로 하고자 정상가토간에서 미세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중 2.5~2.9kg 가토 5마리를 대상으로하여, 문맥에 카테타를 삽입하여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고 곧이어 대정맥에 카테타를 삽입하여 혈액을 충분히 세척하였다. 그리고 미세바리움 용액을 문맥을 통해 선택적으로 주입하였다. 미세바리움 용액이 충분히 주입되었다고 판단되면 간을 적출하여, 7일간 고정한 후 1-2mm의 절편으로 만들어, 미세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절편일부는 조직소견을 관찰하기 위해 H-E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조영제가 간세포에 도달한 후,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두개의 문맥 삼분지가 변연부에 위치한 육각형의 정형적 간 소엽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소엽들 주변부에는 조영제에 의해서 잘 충만된 상을 보였으나, 중심정맥 주변부위는 조영제의 불충분한 충만을 보였다. 하지만 중심정맥은 비교적 잘 충만된 상을 보였다. 그리고 두개의 인접한 정형적 간 소엽들 변연부에는 약쪽의 문맥 삼분지에서 나온 문정맥의 최말단 분지가 분포하며, TPV에서 중심정맥으로 향할 수록 간 동모양 혈관내의 조영제의 농도가 점점 옅어졌고, 특히 중심정맥 주변부에는 조영제의 농도가 제일 옅은 양상을 보였다. 결 론:정상가토 간에서 시행된 미세혈관 조영상을 종합하여 간의 기능적 최소단위가 Rapparport가 주장한 간세엽임을 다시 한번 입증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