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Sinusoidal Fenestrations in the Hepatic Lobule of Normal Ra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ISSN 1225-677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Koh, Seong-Eun,Shin, Young-Chul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5-01-01
초록 간소엽에 있는 동모양혈관내피창은 혈관과 간세포사이의 물질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내피창에 관해서는 아직도 검토되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모양혈관내피창 중 특히 큰창의 실재 여부와 창의 소엽내 분포상을 관찰하고 창의 크기와 분포상을 기초로 하여 내피창의 유형과 분포상을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식이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최종 식이 투여 3시간 후에 관류고정하였으며 식에 따라 제작된 모든 조직표본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동모양혈관의 내면에서 여러가지 크기의 내피창이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작은창, 중간창 및 큰창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작은 창은 낱개로 나타나거나 여러 개가 모여서 나타났으며 중간창은 낱개로 또는 작은창에 섞여서 나타났다. 큰 창도 낱개로 나타나거나 작은창과 중간창에 둘러싸여 나타났다. 특히 중간창은 소엽의 중심대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어 새로운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큰창은 다른 유형의 창과 마찬가지로 그 윤곽이 평탄하였으며 세포질에 의해 분할된 상도 관찰되었으나 파열된 상은 찾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인공산물이 아닐 것으로 추정하였다. 소엽은 창의 분포에 따라 주변대, 중간대 및 중심대로 구분되었다. 주변대에서는 작은창만이 보이는 동모양혈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중심대에서는 중간창과 작은창이 보이는 동모양혈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중간대에서는 큰창과 중간창 및 작은창이 다 같이 보이는 동모양혈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동모양혈관내피창은 소엽의 주변대에서 중간대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커지다가 중간대에서 중심대로 가면서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중심대의 창은 주변대의 것에 비하면 큰 편이다.차적인 증가에 대해서 틸라피아의 체내에 축적된 NaCl과 무기성분(無機成分)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혹은 체내의 삼투압(渗透壓)의 균형을 위해서 이러한 결과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가미엽(葉)의 표피(表皮)는 염분농도(鹽分濃度)가 높을수록 요철(凹凸)상태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생리학적 현상들은 모든 경골어류(硬骨魚類)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되며, 틸라피아와 무지개 송어(松魚)는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에도 불구하고 해수(海水)에 견디어내어 순치(馴致) 적응(適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에 의해서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제 2차(次) 아가미엽(葉)의 미세구조(微細構造)는 적응기간(適應期間) 동안 표면이 울퉁불퉁한 특징을 나타내었고,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에 의해서는 해수(海水)에 노출된 염분세포내(鹽分細胞內)에 길게 변형된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으며, 잘 발달된 cristae가 확인되었고, 담수(淡水)에 서식하던 개체의 염분세포(鹽分細胞)보다 그 수가 증가하였다. 이와같이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염분세포의 존재를 통해서 해수(海水)에 적응하는 동안 일어나는 저삼투압조절(低渗透壓調節) 작용(作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신장(腎臟)의 보우만 주머니를 가득 채운 신사구체(腎絲球體)를 가지고 있으며, 신사구체(腎絲球體)의 수축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보다 10%o, 20%o, 30%o에 적응된 개체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되었고, 울혈현상(鬱血現象)은 10%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5188411182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inusoidal fenestration,Hepatic lobule,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