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rchitecture of Human HDAC1/2-RbAp46/48 Core Protein Complex Revealed by Electron Microscop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Jing,ZHU, Hong-tao,FENG, Hong-li,GONG, Min-qing,ZHU, 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HDAC1, HDAC2와 RbAp46, RbAp48은 수많은 중요한 기능 복합체(예를 들면, NuRD, Sin3 등)의 핵심 서브유닛(core subunit)이다. 4가지 서브유닛이 공간에서 상호작용을 하여 디아세틸레이즈(deacetylases) 효소 활성을 가진 핵심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해당 핵심 복합체의 3차원 공간 구성 및 그것이 디아세틸레이즈, 염색질 개조 등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서는 아직까지 알고 있는 것이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서브유닛을 함유하고 있는 바큐로바이러스(Baculovirus)를 포장하였으며 곤충세포를 이용하여 HDAC1/2- RbAp46/48 핵심 복합물을 발현, 순화하였다. 해당 기초연구에서 전자현미경 단일 입자 분석법(Electron microscopy single particle analysis method)을 이용하여 디아세틸레이즈 효소 핵심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초보적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HDAC1, HDAC2, RbAp46, RbAp48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지만 해당 복합체 내 다양한 서브유닛은 단일 클론, 등비례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핵심 복합체는 비대칭 새들형(Saddle type) 구조를 나타내고 해당 복합체의 윗부분이 부풀어 오르면서 대체적으로 삼각형 형태을 형성하고 양끝에 각각 크고 작은 두개의 날개가 있다. 날개 중간 부분에 직경이 약 6nm인 홈이 있는데 핵심 복합체와 뉴클레오솜(Nucleosome)이 결합되는 위치일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HDAC1/2-RbAp46/48 디아세틸레이즈 효소 복합체의 여러 서브유닛의 공간 구조 구성, 뉴클레오솜 및 염색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이해하고 디아세틸레이즈 효소 활성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108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DAC1/2-RbAp46/48 core complex,3D reconstruction,deacetylases,chromatin remodeling,HDAC1/2-RbAp46/48 핵심복합체,3차원 재구성의 전자현미경 관찰,디아세틸레이즈,염색질 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