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이리노테칸(CPT-11)과 노르칸타리딘(NCTD)의 연합 사용이 인간 위암세포 BGC-823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협동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30, 60, 90, 120, 150 μmol/L의 CPT-11과 30, 60, 90, 120, 150 μmol/L의 NCTD를 각각 사용하는 한편 두가지 약물을 앞서 언급한 농도로 1:1 혼합하여 연합 사용하였다. 또한 농도가 서로 다른 두가지 약물을 완전 교차 혼합한 다음 24, 48, 72시간 동안 BGC-823 세포를 각각 처리하였다. 그리고 서로 다른 순차에 따라 BGC-823 세포를 24시간 처리하였다. MTT 방법으로 BGC-823 세포의 증식을 검사하였고 중간효과의 원리를 적용하여 두가지 약물의 연합 사용을 평가하였다. 유세포 분석 방법으로 60μmol/L CPT-11과 60μmol/L NCTD의 연합 사용[(60?60)μmol/L]을 측정하였고 서로 다른 순차에 따라 BGC-823 세포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의 세포주기 및 세포사멸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 방법을 사용하여 30, 60 μmol/L CPT-11과 30, 60 μmol/L NCTD를 연합 사용[(30?30, 60?60)μmol/L]하여 BGC-823 세포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의 Pdcd4 및 p53 단백질의 수준을 검사하였다. 분석 결과, CPT-11과 NCTD의 연합 사용은 개별적 약물 사용에 비해 세포증식에 대한 억제 작용을 증강하였고 IC 50 은 뚜렷이 감소하였다(P 50 은 연합 사용시의 2.83, 3.15, 2.19배와 2.66, 3.11, 2.45배였다. 또한 두가지 약물의 연합 사용은 협동적 작용 효과가 있었다. 두가지 약물을 연합하여 24시간 동안 사용할 때, 먼저 CPT-11를 투여하는 방안의 억제 작용은 먼저 NCTD를 투여하는 방안에 비해 효과가 더 좋았고 동시 투여 방안에 비해서도 효과는 더 좋았다(P 위의 결과, CPT-11과 NCTD의 연합 사용은 인간 위암세포 BGC-823에 대한 협동 억제 작용이 있었고 협동 억제 메커니즘은 주로 세포의 G2-M기 억제를 유발하는 것이었다. 또한 암 억제 유전자 단백질 Pdcd4와 p53 발현의 상향 조절과 연관되었다. 두가지 약물을 혼용하여 사용시 순차는 혼용연합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먼저 CPT-11을 투여하는 방안은 먼저 NCTD를 투여하는 방안과 동시 투여 방안에 비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냈고 그 메커니즘은 주로 S기 억제 증가와 세포사멸 증가를 유발하는 것이었다. 암 억제 유전자 단백질 Pdcd4와 p53 사이에 부정적(-) 조절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