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U, Xiao-ju,GUAN, Hui-lin,ZHANG, Zheng-yun,MA, Yong-cun,TANG, Shu-kun |
초록 |
【목적】삼칠(Panax notoginseng) 연작지에서 발생하는 토양 전염병(soil-borne disease)의 생물학적 방제기술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근권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과 뿌리썩음병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삼칠을 6년 동안 연작한 후 건강한 식물체와 뿌리썩음병에 걸린 식물체의 근권 토양을 수집하였으며, 다양한 배지에서 분리, 정제하여 분리 균주의 DNA를 추출하였다. 16S rRNA 서열의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진행하고, Blast 상동성 및 그 계통 진화수를 분석하였다. 【결과】수집한 샘플에서 분리한 균주는 세균 도메인(Bacteria) 중의 4개 문(phyla) 40개 속(Genera)에 분포되었다. 그 중 건강한 식물체 그룹의 토양에서 179주의 균주를 배양하였는데, 이는 30개 속에 분포되었으며, Burkholderia속, 아스로박터속(Arthrobacter), 스트렙토미세스속(Streptomyces) 및 바실루스속(Bacillus)이 우점 균군이었다. 뿌리썩음병에 걸린 식물체 그룹의 토양에서 117주의 균주를 배양하였는데, 이는 29개 속에 분포되었으며, Ralstonia속, Sphingomonas속, Stenotrophomonas속 등이 우점 균군이었다. 그 중 플라보박테륨(Flavobacterium), 엔테로박터(Enterobacter)의 분리 균주는 병에 걸린 식물체 그룹의 토양에서만 분리 가능하였다. 또한 새로운 5가지 균주도 발견되었다. 건강한 그룹과 뿌리썩음병 그룹의 토양 EC값 및 각 원소 이온 농도의 차이는 뚜렷하였으며(P 3 - , SO 4 2- , CO 3 2- , K + 및 총 염분 함량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유의성 P 【결론】연구 결과, 삼칠 연작지의 토양 전염병 발생은 병원균의 영향을 받는 외, 또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토양 미생물 개체군의 구조 및 그 우점 미생물의 개체군 비율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특히 토양 내 유용 미생물(Burkholderia, Bacillus, Streptomyces 등)의 풍도(abundance)는 삼칠 토양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병해를 통제 및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침적 의미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