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NING, Kun,LIU, Xiao-ping,LIN, Yong-hong,ZHAO, Xi-yang,LIU, Gui-feng,YANG, Yang,SONG, Xin,LI, Hui-yu |
초록 |
길림성 연길의 마오얼산(Maoershan) 실험장에 있는 6년생의 49개 가계 자작나무 후대 측정림을 재료로 하여, 그 생장과 목재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생장과 목재 특성의 연속적 선택 및 지수 선택법을 이용하여 자작나무의 우수한 가계 선별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작나무 49개 가계 사이의 나무높이, 흉고 직경, 단일 목재 체적과 보존율은 극히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4개 생장 형질의 다중 비교법을 이용하여 5개 우수한 가계 및 3개 양호한 가계를 초보적으로 선택하였다. 이 8개 우수한 가계의 목재 특성 형질에 대해 분산 분석을 진행한 결과, 8개 우수한 가계 사이 섬유 길이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고, 기본 밀도, 리그닌 함량과 홀로셀룰로오스(holocellulose) 함량 이 3개 지표는 모두 극히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선택지수법을 이용하여 지수 방정식을 구축하였으며, I 2 가 비교적 이상적인 다형질 지수 방정식을 선택하여, 펄프재료에 적합한 임목 가계는 655, 604, 630이라는 것을 확정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