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and sensitivity to fungicides of the yeast-like symbiont Pichia anomala(Hemiascomycetes: Saccharomycetaceae) from Laodelphax striatellus(Hemiptera: Delphacida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昆蟲學報 = Acta entomologica Sinica |
ISSN | 0454-6296, |
ISBN |
저자(한글) | CAO, Wei,MA, Zheng,YU, Xiao-p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목적] 살충제 등 화학 농약의 대규모 사용은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의 내약성을 끊임없이 증강시켰고 방제 효과는 떨어졌다. 이런 원인으로 새로운 방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살균제 사용을 통해 애멸구 체내 공생균의 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애멸구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항균성 해충 방제'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법] 애멸구 체내 효모유사 공생균(yeast-like symbiont, YLS)을 체외 배양하고 검정한다. 체외에서 배양한 YLS가 농도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살균제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한 다음 억제 작용이 뚜렷한 살균제를 선별하여 밀싹에 살포한다. 그 다음 애멸구에 먹인 후 사망률과 체중을 통계한다. 또한 형광 정량 PCR을 통해 체내 공생균의 수량 변화를 검사한다. [결과] 체외 배양을 통해 1주의 YLS를 획득하였다. 탄소동화 실험(carbon assimilation experiment)과 18S rDNA 분자 검정을 통해 해당 균주를 비정상 피치아 패스토리스(Pichia anomala)로 분류하였다. 또한 변성 구배 겔 전기영동 기술을 통해 애멸구 체내에서 해당 균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살균제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한 결과, 70% 프로피네브(propineb) 및 50% 터브코나졸+25% 트리플옥시스트로빈은 P.anomala에 대한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지만, 플루오피콜라이드+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687.5 g a.i./L) 및 40% 피리메타닐은 P.anomala에 대한 억제 효과가 못하였다. P.anomala에 대한 억제 효과가 뚜렷한 두가지 살균제(70% 프로피네브와 50% 터브코나졸+25% 트리플옥시스트로빈)를 800 mg/L 농도로 배합하여 밀싹에 살포하였다. 살균제를 살포한 밀싹을 채식한 애멸구의 사망률은 각각 46.7%와 63.3% 도달하였는데,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형광정량 검사 결과, 각종 살균제를 사용한 후 애멸구 체내의 3가지 공생균(Noda균, Pichia guilliermondii, 비정상 피치아 패스토리스) 수량은 모두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 체외 살균제 살포는 애멸구 체내 공생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었고 나아가 애멸구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살균제와 살충제 협동 사용을 통한 애멸구 방제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50944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Laodelphax striatellus,Pichia anomala,in vitro culture,fungicide,biological control,denatured gradient gel electrophoresis(DGGE),애멸구,비정상 피치아 패스토리스,체외 배양,살균제,생물 방제,변성 구배 겔 전기영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