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지속가능한 전통농업기술의 발굴과 개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식량작물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 평가, 델파이조사 때의 전문가 의견 분석, 농업기술에 이용한 자원의 현황 분석이다. 델파이기법(delphi)에 의한 식량작물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 평가 결과 42개의 우수항목(종합평가 영역 기준 3.0 이상)을 도출하였다. 작목별로 구분하면 미맥류 17항목, 공통기타 10항목, 특용작물 9항목, 잡곡류 3항목, 서류 3항목이다. 특히 높게 평가된 기술은 벼농사의 간단관수 물관리, 벼보리 논 2모작 생산기술, 검정콩의 관례적 생산, 토종 서리태콩, 감자 직파재배시 부패방지법, 다엽 채취기술, 농토배양, 토양개량 기술 등이다. 이러한 기술들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상응분석한 결과, 지속영농기술이 현대화되려면 경제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고, 권리화와 과학성 검증은 다른 요인과 관계없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식량작물 재배기술 120항목에 이용된 전통적 농자재는 91종류로 생물자원 32종류, 농산부산물자원 15종류, 폐자원 18종류, 무생물자원 26종류이다. 작업단계별로 많이 사용한 농자재의 예를 들면 첫째, 종자와 육묘기술에 짚(4회), 물(3회), 재(2회)-품종 선택, 잡초제거, 방풍, 녹비, 건묘 육성, 모찌기 노력경감, 발아촉진, 발아율향상, 둘째, 재배관리 기술에 왕겨(5회), 비닐(4회), 짚(3회), 흙(3회)-방풍, 잡초제거, 뿌리 활력증진, 서리피해한해예방 및 경감, 셋째, 병해충 방제 및 생리장해 관련 기술에 41종류-한발피해/ 수분증발억제, 서리 피해예방, 생물적 방제, 이끼제거, 넷째, 수확 및 저장 기술에 7종류-곡물장기 저장, 예취탈곡, 참깨다발 건조, 다섯째, 공통기타 기술에 콩(2회), 퇴비(2회), 똥거름(2회)-2모작재배, 네가웃짓기, 연작장해 경감, 개량제 시용, 추경시비, 농토배양 등- 등이 이용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