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atastrophe of Neuronal Activity in Rat Hippocampus During The Period of Deep Anesthesia Till Brain Death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O, Jia-yue,FENG, Zhou-yan,ZHENG, Xiao-jing,CHEN, Bai-l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전신 마취를 잘못했을때 중추신경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어 이에 따른 안정성은 광범위한 관심을 받고 있다. 마취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뉴런 활동의 변화 규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쥐가 우레탄(urethane)에 심층적으로 마취되면서 뇌사 단계까지 해마(hippocampus) 영역에서의 뉴런 흥분성(neuronal excitability)과 신호 전달 기능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세 전극 배열 기록(microelectrode array recording)과 전기 자극 기술(Electrical stimula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CA1 영역 세포체 층(cell body layer)에서 각각 Schaffer 측면에서의 긍정적 자극과 해마 백질(White matter)에서의 혐오 자극(aversive stimulation)으로 유발한 Population spike(PS)를 기록하였다. PS의 진폭(Amplitude)과 잠복기를 지표로 해마 뉴런 활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레탄 혈중 약물 농도가 높아질수록 PS 진폭은 점차 줄어들고 잠복기가 점차 길어질수록 우레탄은 뉴런의 흥분성 및 축삭 전도(Axonal conduction)와 시냅스전달(synaptic transmission)을 억제한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명확한 전환점(돌연변이)가 존재하여 전반 감쇠과정을 느린 변화와 빠른 변화 두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빠른 변화 단계에서의 심한 감쇠는 빠르게 뇌사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결정적 요인은 우레탄의 혈중 약물 농도이며 마취 시간이 아니다. 그러나 우레탄 주사 속도가 비교적 느릴때 연장된 느린 변화 단계는 여전히 뉴런 기능의 손상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동물 실험과 임상의 사례에서 임상 마취의 안전한 응용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3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esthesia,urethane,hippocampus,neuron,catastrophe,마취,우레탄,해마,뉴런,돌연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