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characteristics and mitigation countermeasures ofred tides in China sea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通報 = Marine science bulletin |
ISSN | 1001-6392, |
ISBN |
저자(한글) | LUO, Hao,MA, Ming-hui,LIANG, Bin,ZHU, Rong-juan,LIANG, Ya-hu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중국 연해안의 적조 발생 역사와 현황에 대한 묘사를 거쳐 적조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과 변화 법칙을 토의하고 적조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재해 경감 대책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 (1) 1933년~2011년 사이에 중국 해역에서 총 1,047차례의 적조가 관측되었다. 2000년 이후 중국에서는 적조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그 발견 빈도와 영향 범위가 뚜렷이 증가하였다. (2) 중국 연해안의 남쪽으로부터 북쪽까지 모두 적조가 분포되었는데 그 시공간적 분포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그 중, 하구와 내항(inner bays)은 적조 다발 지역이었다. 또 동중국해에서의 적조 발견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적조 피크 시기(peak period)는 매년 4-9월 수온이 비교적 높은 계절에 집중되었으며 남중국해에서는 사계절 모두 발견되었다. (3) 2009년까지 중국 우점종(dominant species)에 의해 초래된 적조는 417차례로 전체 적조의 45%를 차지하였으며 유독 적조의 발생률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4) 영양염 주입이 적조의 발생에 물질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토의를 진행하고 적조의 조기 경보와 오염 조절을 강화하는 것이 적조 재해를 예방하고 경감하는 주요 조치라고 제안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70190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red tide,frequency,trends,characteristics,적조,빈도,추세,특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