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Xin,WANG, Xiao-dong,WANG, Zhao-jin,LI, Yin-zhong,DU, Hui |
초록 |
둥잉시는 황허 삼각주의 중심 도시로서 북쪽으로 보하이만, 남쪽으로 라이저우만과 인접되어있는데 전 시의 해안선 길이가 413km이며 등심선이 15m인 내부 해역의 천해(shallow water) 면적이 4,800 km 2 , 간석지 면적이 1,200 km 2 이다. 그리고 겨울철에 매년 총 해빙기간이 약 70일이며 심각한 해빙 기간이 약 30일, 해빙 표류의 경계선이 약 37km였다. 해빙은 둥잉시에 있는 어업 항구, 부두, 옅은 바다의 간석지 양식과 해상 기초 시설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당 지역에 있는 해수 양식업의 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생산 활동에 미치는 해빙의 영향은 더욱 선명해지고 있다. 해빙이 심각할 때, 해상 교통 운수, 오일가스의 개발 및 어업 활동은 강박적으로 중단되고 해상 시설과 항구 작업 시설도 파괴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선박이 훼손되어 사람이 사망하는 등 중대한 사건도 발생한다. 그러므로 해빙 재해의 형성 원인, 분포, 위해성을 연구 분석하며 재해에 대응하는 예방 조치를 제안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역사적인 관측 자료가 부족하므로 아직 둥잉시 해역의 해빙 상황에 대한 계통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둥잉시 해양 및 어업국은 2009년부터 둥잉시 해역에 대해 지속적인 해빙 감측 작업을 실행하여 신뢰성이 있는 관측 데이터를 얻었다. 본 논문은 최근 5년 사이에 얻은 관측한 자료에 근거하여 둥잉시 해역의 해빙 형성, 발전 및 해빙 재해에 대한 예방 조치를 비교적 계통적으로 소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