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FRTL-5 세포의 성장 및 세포자연사에 대한 Wnt-1의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내분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ISSN 1015-638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정민,김태용,송영기,이윤수,박은정,최현정,김원배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연구배경: Wnt 단백은 배아 유도, 세포 극성의 생성, 세포 운명 결정에 관여하는 주요한 신호 분자로 세포 증식와 분화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다. Wnt 신호 전달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베타 카테닌으로, Wnt/베타카테닌 신호 전달체계는 갑상선 세포의 성장과 기능의 생리적, 병리적 조절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FRTL-5 세포를 사용하여 갑상선세포에서 Wnt 신호 전달체계의 생물학적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FRTL-5 세포를 이용하여 갑상선자극호르몬 유무에 따른 Wnt 단백과 베타 카테닌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Wnt-1 발현 클론(W1)과 대조군(V3)을 이용하였다. 각 군에서 세포 성장률, 세포 주기 및 세포자연사를 비교하여 그 기전을 밝히고, 갑상선 세포에서 Wnt-1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결과: FRTL-5 세포에 갑상선자극호르몬 처치 시 Wnt-1 mRNA 농도와 단백질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활성화된 베타 카테닌 및 총 베타 카테닌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세포의 성장률과 S/G2/M의 주기의 세포 비율이 V3와 비교하여 W1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myc의 농도는 W1에서 V3보다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베타 카테닌 농도와 cyclin D의 농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ctinomycin-D를 이용하여 세포자연사를 평가했을 때, 모든 농도에서 W1에서 V3보다 세포자연사가 적었다. bcl-2 농도는 W1에서 V3보다 높았다. 결론: 정상 갑상선 세포주인 FRTL-5 세포에서 정상적으로 Wnt-1이 발현되며 이는 갑상선자극호르몬에 의하여 증가하나 베타 카테닌은 역설적으로 감소하였다. FRTL-5 세포주에서 Wnt-1의 과발현은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세포자연사를 감소시켰다. Wnt-1의 과발현에 의한 세포 성장의 촉진은 베타 카테닌을 통한 고전적인 Wnt 신호 전달체 계를 매개로 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c-myc의 증가와 관련된 Wnt/칼슘 신호 전달체계를 매개로 할 것으로 생각된다. Wnt-1 과발현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감소는 bcl-2 단백의 증가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3697411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eta-catenin,Thyroid,Wnt-1 prot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