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lationships between the diversity of animal communities and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content of heavy metals in soils in Guizhou Zhijin Cav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Chengxiang,Li, Zizhong,Li, Dao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동굴의 동물 군집 다양성과 환경의 관계, 또 토양 중금속 오염이 동굴의 동물 분포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2011년 8월에 중국 구이저우의 저명한 여행 동굴인 즈진동(Zhijin Cave)의 동물 군집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이 동굴을 5개 light zone(동굴 입구의 light zone, 동굴 출구의 light zone, 동굴 입구의 weak-light zone, 동굴 출구의 weak-light zone, dark zone)로 분류하였으며 25개의 사각형(Quadrats)을 설치하였다. Shannon-Wiener 다양성 지수를 이용하여 군집 다양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주성분(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을 이용하여 동물 군집 다양성과 환경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 Hakanson 잠재적 생태 위험지수법을 이용하여 동굴 내 토양중금속의 잠재적 생태위험 정도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검측 결과 : 총 1080호의 동물 표본을 얻었는데 3문 7강 26과 41종(혹은 개체군)에 속하였다. 다양성 지수, 풍부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위도 지수가 제일 높은 것은 각각 동굴 출구의 light zone(2.7996), 동굴 입구의 light zone(4.5399), 동굴 출구의 light zone(0.9196)과 동굴 출구의 weak-light zone(0.1868) 등이며 동굴 입구의 light zone과 동굴 출구의 light zone 사이의 유사성 계수는 제일 높았다(0.6248). 또한, 군집의 다양성과 풍부도는 light zone, weak-light zone, dark zone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토양 중의 유기물과 공기 중의 CO 2 함량, 동굴 습도, 온도 및 토양 중의 중금속 오염은 동굴 동물 군집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이다. 토양 중, Cu, Zn, Ni, Cr, As은 낮은 생태 위험 수준에 있으나 수은(Hg) 오염은 비교적 심하여 동굴 입구의 light zone에서 심각한 생태 위험 수준에 도달하였다(Eri=256.000). 전반적 동굴의 종합적이고 잠재적인 생태 모험지수의 평균치(RI=192.714)로부터 보면, 6가지 중금속 총 잠재적 생태 위험 정도는 중간상태의 생태 위험 수준에 달하였으며 동굴은 일정한 정도의 중금속 오염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3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iversity of animal communities,environmental factors,ecological risk appraisal,principal components analysis,Zhijin Cave,동물 군집 다양성,환경적 요인,생태 위험 평가,주성분 분석,즈진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