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IONG, Min,TIAN, Shuang,ZHANG, Zhi-rong,FAN, Deng-mei,ZHANG, Zhi-yong |
초록 |
Sinomanglietia glauca은 장시(Jiangxi) 이춘(Yichun)과 후난(Hunan) 융순(Yongshun)에만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 1급 중점 보호 식물이다. 기존에는 RAPD, ISSR 및 엽록체 SSCP(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표지를 이용하여 Sinomanglietia glauca에 대한 집단유전학(Population genetics)적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그 후에 발견된 후난 개체군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개체군 내 유전적 변이를 측정하지 못했다. Sinomanglietia glauca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공간적 분포 패턴에 대하여 전면적으로 측정하고 보호 단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포핵 미소부수체 표지(Nuclear microsatellite markers)를 이용하여 Sinomanglietia glauca 4개 개체군의 77개 개체에 대하여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Sinomanglietia glauca는 비교적 낮은 유전적 다양성([평균 대립 유전자 수 A = 2.604, 평균 예상 이형접합성 (mean expected heterozygosity) H E = 0.423]과 비교적 높은 유전적 분화(F ST = 0.425)를 갖고 있다. STRUCTURE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ordinated Analysis, PCA)으로 4개 개체군을 장시(Jiangxi), 후난(Hunan) 두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장시의 2개 개체군은 실제로 같은 자연 육생 개체군이며, 후난의 2개 개체군은 2가지 분화가 뚜렷한 자연 육생 개체군이다. 연구 결과, 후난 개체군에는 뚜렷한 이형접합자 과잉 현상이 존재하였으며 작은 개체군 내 랜덤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Sinomanglietia glauca는 최근에 강렬한 병목효과(Bottleneck effect)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개체군이 작아지며 유전적 다양성을 상실하고 개체군 분화가 심각해졌다. 그러므로 진화 잠재력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여야 한다. 보호 조치를 제정할 때 비교적 높은 유전적 분화 수준을 고려하여야 하며 유전적 구조에 근거하여 3개의 보호 단원으로 나눌 수 있다. 즉 후난 개체군과 장시 개체군을 2가지 진화가 뚜렷한 단원으로 나누고, 더 나아가 후난 개체군을 2개 관리 단원으로 나누었다[랑시향(Lang Xi) 윈판촌(Yunpan)과 샤오시(Xiaoxi)향 루자촌(Lujia) 개체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