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朱子의 居敬에 관한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儒敎 思想 硏究
ISSN 1226-70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이 논문의 目的은 朱子의 居敬을 알아보는 것이다. 居敬을 연구하려는 이유는 그 동안 주자학 연구 성과를 열람해보면 대부분 宇宙論ㆍ心性論ㆍ修養論 등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석은 잘 되어 있다. 그러나 修養論에서 지금까지 朱子의 居敬을 연구한 학자들은 居敬工夫에 있어서 敬과 靜坐의 상호관련성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 敬개념 자체의 분석에만 힘을 쓰고 敬의 개념을 확립할 때까지 靜坐가 주자의 공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내용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朱子에 있어서 居敬공부는 心을 天理로 채우는 것이다. 心을 天理로 채우는 공부를 할 때 초보자들은 어디서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되는지 막연하다. 그때 가장 빠른 방법으로 주자는 靜坐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런데 주자는 靜坐를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 정화대신 敬을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시킨다. 평소에 마음이 안정되어 있는 사람에게 정좌공부는 굳이 필요가 없다. 그러나 평소에 마음이 안정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정좌 공부를 통해서 마음의 안정을 찾아야 한다. 이런 사람에게 정좌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부류의 사람도 정좌공부는 마지막 목적지는 아니다. 마음이 안정되면 정좌공부는 중요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항상 앉아서 공부하기에는 현실의 여건이 허락하지 않는다. 일 처리 할 것이 너무나 많은데 이것을 모두 물리치고 앉아 있을 수는 없다. 그래서 실제 활동을 하면서 마음을 항상 깨어 있게 할 수 있는 공부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을 주자는 '敬工夫'라고 했다. 주자는 경공부의 조목을 정좌이외에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1.정제엄숙 2.주일무적 3. 상성성 4. 기심수렴 불용일물 등이다. 정좌와 이 네 가지 조목을 가지고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자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487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朱子,居敬,宇宙論,心性論,修養論,靜坐,天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