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은 뎬츠(Dianchi) 유역에 6가지 토지 이용 유형(버려진 온실, 산림, 경사진 농지, 대지(table land), 평평한 채소밭, 온실)을 선택하여 매달 정기적으로 표층 토양의 pH와 질소, 인, 유기질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토지이용 유형이 뎬츠 유역 토양 양분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지역 내 서로 다른 토지이용 유형의 토양 pH, 유기질 함량, 총 질소 함량, 총 인 함량 및 C/N은 모두 선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pH치 : 버려진 온실 gt;평평한 채소밭 gt;온실 gt;대지 gt;경사진 농지 gt;산림 유기질 함량: 버려진 온실 gt;평평한 채소밭 gt;온실 gt;경사진 농지 gt; 산림 gt;대지 총 질소 함량: 온실 gt;평평한 채소밭 gt; 버려진 온실 gt;경사진 농지 gt;대지 gt;산림 총 인 함량: 평평한 채소밭 gt;온실 gt; 버려진 온실 gt;경사진 농지 gt; 대지 gt;산림 C/N 값: 산림 gt;경사진 농지 gt;평평한 채소밭 gt;대지 gt;버려진 온실 gt;온실 토양 내 유기질, 질소, 인 함량은 시비(fertilization), 관개, 계단 경작 및 계절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모든 테스트 수치는 모두 장마철에 가장 높은 값을 가지며 이는 해당 지역의 시비 습관과 연관된다. 여러 토지이용 유형에서 토양에 총 질소, 총 인 및 유기질 함량은 선명한 정상관관계가 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온실과 버려진 온실 토양 내 pH, 질소, 인, 유기질 함량은 인위적 간섭이 보다 적은 산림과 대지에 비해 선명한 차이를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