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가슴샘의 초기 발생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
ISSN | 1225-150x, |
ISBN |
저자(한글) | 김동수,설은영,박형우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0-01-01 |
초록 | 면역계통의 중추를 이루는 가슴샘의 발생을 발생 4~14주 사이의 한국인 배자와 태아 24예롤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가슴샘 원거의 출현과 이동, 소엽 형성, 가슴샘소체의 출현, 그리고 겉질과 속질의 분화 등의 초기 발생에 초점을 두었으며, 업체수술현미경 관찰과 조직 표본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슴샘원기는 발생 13기에 셋째 인두주머니의 내배엽 상피의 증식으로 처음 관찰되었으며, 발생 15기에 안쪽과 꼬리쪽으로 연장되기 시작하였다. 인두와의 연결부에는 인두공간과 연결된 판공간이 있었으며, 발생 17기에 인두와 연락이 없어졌다. 이후 가슴샘의 원기가 뚜렷하게 길어졌으며, 특히 아래부분이 팽대되었다. 발생 8주에 양쪽 가슴생의 원기는 소세지 모양이었으며, 서로 근접해 있었다. 발생 23기에 부채가 형성되어 겉모습의 변화가 일어났다. 발생 9주 이후 부채가 뚜렷해졌으며 양쪽 가슴샘을 둘러싸는 결합조직이 밀착되었지만 실질은 융합되지 않았다. 겉질과 속질은 발생 10주 태아에서 구별되기 시작하였으며, 가슴샘소체는 발생 13주에 구별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면역조직화학법과 같은 특수 염색을 이용하여 가슴생의 발생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72477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사람,가슴샘,발생,태아,배자,카네기 발생기,가슴샘소체,Human, Thymus,Development,Fetus, Embryo,Carnegie stage,Thymic corpusc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