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CUSSION ON GAS HYDRATE ACCUMULATION CONDITIONS IN WULI PERMAFROST ZONE, QINGHAI-TIBETAN PLATEAU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ISSN 0256-14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ONG, Jian-ming,ZHANG, Li,ZHANG, Jian,LI, Yong-hong,CHEN, Xiao-hui,WANG, Wei-chao,YANG, Zhi-c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중국 칭짱고원(Qinghai-Tibetan Plateau) 우리 영구동토층 시추공에서 천연가스 수화물이 발견되지 않은 원인을 논의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 첫 번째 천연가스 수화물 조사용 시추공의 코어 샘플 및 주변 노두 샘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해당 지역에서 탄화수소 근원암은 중간 수준의 유기질 풍부도를 보인 외, 유기질 유형은 Ⅲ형이었으며 유기질의 지나친 성숙은 탄화수소 기체의 생성에 유리하였다. 하지만, 시추공 코어의 윗부분 공기를 측정한 결과, 천연가스 성분에서 98%는 무기성 이산화탄소였다( 13 C-CO 2 , -4‰~-6‰). 지역의 지질 및 온도-압력장 조건 등을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지역의 천연가스 수화물은 주로 무기성 이산화탄소였지만 일부 유기성 탄화수소 가스도 있었다. 하지만, 연구 지역에서 지반의 강렬한 운동 및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깊은 단층(deep faults)의 발달 등 요인은 천연가스(무기성과 유기성을 포함) 및 그 수화물의 보존에 유리하지 않았으며, 이는 시추공에서 수화물이 발견되지 않은 주요 원인이라고 본다. 그 외, 이산화탄소의 특수한 승화 현상 및 샘플링 기술의 불완전성은 시추공에서 수화물이 발견되지 않는 두 번째 원인이라고 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099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ccumulation conditions,gas hydrate,wuli permafrost,Qinghai-Tibetan Plateau,축적 조건,천연가스 수화물,우리 영구동토층,칭짱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