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ISSN 1226-258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강태,권지연,배동준,유창선,이명희,오세량,장동일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5-01-01
초록 본 논문은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적용, 안정한 2-O- $ alpha$ -D-glucopyranosyl-L-ascorbic acid (AA2G)를 ascorbic acid (AA)와 glucose로 분해하여 이 물질의 피부에서의 효과를 분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A는 높은 환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품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수용액 상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많이 있다. AA2G는 AA를 안정화시킨 미백 기능성 원료이지만 AA와 비교해서 효과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AA2G의 안정성과 AA의 효과를 동시에 갖는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였다. AA2G는 당 분해 효소인 amigase에 의해 30min 경과 후에 약 $80 %$ 가 AA로 전환되며 이 시스템의 미백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같은 농도의 AA와 비교해 유사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A2G는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없음). 또한 AA2G와 amigase를 함유한 제형은 인공 색소 침착 후의 미백 효과 시험에서 AA2G 만을 함유한 제형과 비교하여 높은 미백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효소 생전환 시스템은 불안정한 AA를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5048408266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scorbic acid,2-O-a-D-glucopyranosyl-L-ascorbic acid,whitening,amigase,bio-conver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