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 뼈 검사에서 lt;TEX gt;$^{99m}Tc$ lt;/TEX gt;-DPD의 미만성 간 섭취: MRI 조영제의 영향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핵의학기술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ISSN | 1229-9901, |
ISBN |
저자(한글) | 윤종준,정지욱,황주원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전신 뼈 검사에 이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주된 집적부위는 뼈 무기질이며 그 섭취기전은 명백히 밝혀져 있지 않다. 전신 뼈 검사에서 일시적으로 미만성 간 섭취가 나타날 수 있으며, 간내 섭취의 원인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신 뼈 검사에서 $^{99m}Tc$ -DPD의 미만성 간 섭취에 MRI 조영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10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99m}Tc$ -DPD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98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982명의 환자는 전신 뼈 검사 이전에 MRI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액학검사 및 일반화학검사 소견을 조사한 결과 전신 뼈 검사에서 46명의 환자(남:여=39:7)가 미만성 간 섭취를 보였다. 추적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전에 보였던 미만성 간 섭취는 모두 소실되어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간기능 및 신기능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전신 뼈 검사에서 $^{99m}Tc$ -DPD의 미만성 간 섭취에 MRI 조영제가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99m}Tc$ -DPD의 미만성 간 섭취를 피하기 위해서 전신 뼈 검사는 MRI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를 시행하기에 앞서서 먼저 시행하여야 하고, MRI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가 있을 경우에는 조영제가 몸에서 제거된 후 검사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21685652440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Whole body bone scan, lt,TEX gt,$^{99m}Tc$ lt,/TEX gt,-DPD,MRI contrast,Diffuse hepatic uptak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