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iRNA-155 on Zebrafish ZF4 Cell Survival under Fipronil Stres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生物化學與分子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
ISSN | 1007-7626, |
ISBN |
저자(한글) | LI, Lu-feng,HUANG, Han-nian,ZHOU, Yong-yong,ZHANG, Kai,GUO, Jiang-f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microRNA(miRNA)는 약 20~24nt 길이의 비코딩 단사슬 소분자 RNA이다. 환경독성학 연구 결과, 생물이 환경적인 화학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관련 iRNA 발현이 변화를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피프로닐(fipronil) 농약은 페닐기류 살충제이고 제브라피쉬의 miR-155 정상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소성 발현(ectopic expression)의 miR-155가 제브라퓌쉬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 결과는 이소성 발현의 miR-155가 피프로닐 작용 하에 제브라피쉬의 배아 세포 ZF4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실험 결과, 피프로닐로 ZF4 세포를 72시간 처리한 후 IC 50 값이 39.05 μmol/L이고 일시적으로 miR-155 mimic를 형질전환할 수 있으며, 피프로닐 환경에 노출된 ZF4 세포의 생존율을 뚜렷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eal-time PCR 결과, 그의 잠재적인 표적 유전자 cyb561d2의 발현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형질전환한 miR-155 inhibitor은 세포 내인성의 miR-155 억제를 통해, 피프로닐 독성에 대한 ZF4 세포의 저항 능력을 뚜렷하게 강화하였고 cyb561d2 발현을 뚜렷하게 향상하였다. 상술한 결과로부터 miR-155가 피프로닐 독성학 효과에 참여하고 그 발현량의 많고 적음이 피프로닐 작용 하의 ZF4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경로 중 하나는 잠재적인 표적 유전자 cyb561d2의 발현 제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miR-155를 피프로닐 환경 독성의 생물 표지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생물체에 대한 암 유발 환경 화학 물질의 작용 메커니즘 연구에서 새로운 경로로 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0785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icroRNA-155,cell survival rate,ZF4 cells,cytotoxicity,fipronil,microRNA-155,세포 생존율,ZF4 세포,세포 독성,피프로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