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ONG, Jin-yong,YIN, Hong-mei,SHEN, Yang,YAN, Zhi-ping,LIU, Jing-xia,ZHOU, Fa-ting,XIA, Qing,LIU, Xiao-hang |
초록 |
높은 강도의 타겟성과 우수한 생체 적합성 등 장점으로 인하여, 약물 나노입자는 암증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노입자가 암세포에 의해 식별 및 흡수된 후, 그 암세포 전이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크게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립기술(SAMs)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화학 기능원자단(CH 3 , OH, COOH, NH 2 )을 가진 금나노입자(Au NPs)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으며, 투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인체 간암세포 균주 HepG2 세포내에서 Au NPs의 분포 정황을 관찰하였다. 또한, MTT법을 이용하여 해당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출하였으며, 동시에 흔적 손상 실험 모델과 Transwell 모델을 이용하여 Au NPs가 해당 세포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서로 다른 화학 기능원자단으로 수식한 금나노입자는 세포에 의해 흡수된 후 주로 소포 변두리 또는 세포 간 연결 곳에 분포되었다. 이 외에, 서로 다른 화학 기능원자단으로 수식한 나노금은 HepG2 세포 활성에 대해 일정한 억제 작용을 하였으며, 금나노입자 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세포 증식 능력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흔적 모델과 Transwell 모델 결과로부터, 서로 다른 계면화학 기능원자단에 의해 수식된 금나노입자가 세포 전이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으며, 대조군과 비교할 때 NH 2 -NPs, OH-NPs 그룹은 인체 간암세포 균주 HepG2의 전이 행위를 뚜렷하게 억제하였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