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nhanced cytotoxicity of chemotherapeutic agents in combination with adenoviruses expressing MDA-7/IL-24 to esophageal carcinoma cells in vitr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腫瘤生物治療雜誌 = Chinese journal of cancer biotherapy
ISSN 1007-385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Ya-qiong,ZHANG, Ming-zeng,LIU, Bei-chen,ZHOU, Feng-ling,GAO, Yu-huan,MA, Guang-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 인간 흑색종 분화 관련 유전자 7(melanoma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7, MDA-7)/인터류킨-24(interleukin-24, IL-24) 유전자가 식도암(esophageal carcinoma) 세포에 대한 억제 작용 및 MDA-7/IL-24 유전자와 화학요법 약물 병용이 항종양 작용에 대한 증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 RT-PCR법으로 인간 식도암 세포주 TE-11과 YES-5에서 MDA-7/IL-24 수용체 IL-20R1, IL-20R2, IL-22R1의 발현 수준을 검사하였다. MDA-7/IL-24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인간 복제 결함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Ad-MDA-7로 TE-11 세포와 YES-5 세포를 감염시켰다. 그리고 Ad-LacZ를 대조 아데노바이러스로 하고,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 cells) OUMS-24를 대조 세포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MTT법으로 세포 감염 억제율을 검사하였으며, 웨스턴 블로팅법(Western blotting)으로 감염 전과 후 세포에서 MDA-7 수준을 검사하였다. 화학요법 약물 5-플루오르우라실(5-fluorouracil, 5-FU), 시스플라틴(cisplatin, CDDP), 미토마이신(mytomycin) 및 에토포시드(etoposide, VP-16)를 각각 Ad-MDA-7과 결합하여 식도암 세포주에 작용시켰다. 그리고 MTT법으로 단독 사용 혹은 결합 사용이 식도암 세포에 대한 억제 작용을 검사하였으며,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으로 AdMDA-7과 화학요법 약물을 단독 혹은 결합 사용한 후 식도암 세포의 주기 변화를 검사하였으며, 웨스턴 블로팅법(Western blotting)으로 Ad-MDA-7과 화학요법 약물을 결합하여 사용한 후 세포 사멸 및 증식 관련 분자의 변화를 검사하였다. 결과: TE-11 세포와 YES-5 세포는 모두 3가지 종류의 IL-24 수용체를 발현시킬 수 있었다. Ad-MDA-7로 감염시킨 후 2가지 식도암 세포에서 모두 MDA-7 단백질이 발현되었으며, 또한 식도암 세포는 모두 약제 의존성으로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Ad-MDA-7 함량이 3×10 4 VP/세포에 도달하는 조건에서 TE-11 세포의 억제율은 80%를 초과하였고, YES-5 세포의 억제율은 50%를 초과하였다. 그러나 같은 약제량의 Ad-LacZ는 식도암 세포의 생장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없었으며, 또한 섬유아세포 OUMS-24를 Ad-MDA-7로 감염시킨 후 뚜렷한 생장 억제 작용이 없었다. AdMDA-7을 각각 5-FU, CDDP, MMC, VP-16와 결합하여 사용한 후 AdMDA-7 단독 사용에 비하여 더욱 강한 항종양 효과가 있었다. Ad-MDA-7과 5-FU을 결합하여 유도시킨 세포가 S 단계 및 G 2 /M 단계에서 정지된(arrest) 수량은 더욱 많았으며, 또한 subG 1 단계 세포 비율은 뚜렷하게 증가되었다. 5-FU 단독 사용에 비하여 결합하여 사용하는 조건에서 Ad-MDA-7은 더욱 많은 세포 사멸 관련 다백질 cleaved caspase-8, cleaved caspase-9, cleaved caspase-3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또한 Akt의 인산화를 증가시켰지만 IκB-α의 발현 수준은 감소시켰다. 결론 : MDA-7/IL-24와 화학요법 약물을 결합하여 식도암 세포를 작용하는 조건에서 더욱 강한 항종양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화학요법과 유전자 치료를 결합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4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sophageal carcinoma,adenovirus,MDA-7,IL-24,gene therapy,chemotherapy,식도암,아데노바이러스,MDA-7,IL-24,유전자 치료,화학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