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Chun-ping,ZHOU, Hui,HE, Ping,HU, Shi-jun,DUAN, Jing-yu,LI, Yan,ME, Huan-kai |
초록 |
본 실험은 2년생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 유묘를 재료로 하여, 염(100 mmol·L -1 농도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외인성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 ALA) 처리를 거친 후, 황련 유묘의 광합성 색소 함량,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 및 기체교환 파라미터 등 광합성 생리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 황련 유묘의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경로를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1) NaCl 스트레스에서 황련 유묘의 광합성 생리는 뚜렷하게 억제되었으며, 서로 다른 농도의 ALA 처리를 거친 후, 엽록소 a, 엽록소 b, 총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등 광합성 색소의 함량은 뚜렷하게 향상되었다. (2)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 황련 식물체의 순광합성속도(P n ), 기공전도도(G s ), 엽편 증산속도(T r )는 감소하였으며, 스트레스 시간과 스트레스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폭은 점진적으로 커졌고, 세포간 CO 2 농도(C i )는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염 스트레스에서 황련의 순광합성속도가 감소되는 주요 영향 요소는 비기공요소라는 것을 설명한다. (3) ALA 처리 후, 황련의 P n , G s 및 T r 은 서로 다른 정도로 향상되었고, C i 는 서로 다른 정도로 감소되었으며, 서로 다른 농도 기울기에 뚜렷한 효과 차이가 존재하였다. (4) ALA 처리는 최대 형광(F m , 1.234), 최대 광화학효율(F v /F m , 0.849), PSⅡ 유효 광화학효율(F v' /F m' , 0.685), PSⅡ 실제 광화학효율(Φ PSⅡ , 0.545)과 광화학 담금질 계수(qP, 0.872)의 수준을 향상시켰으며, 초기 형광(F 0 , 0.211)과 비광화학적 담금질 계수(NPQ, 0.251)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연구 결과, 외인성 ALA는 황련 유묘 엽편의 광합성 색소 함량을 향상시키고, 과잉 여기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며, 광합성 전자 전달 속도를 향상시켜, 염 스트레스의 황련 엽편 PSⅡ에 대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완화시켰으며, 식물체의 염 저항능력을 향상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