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alt Stress on Physio-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Leaf Microstructure in Photinia glabra 'Rubens' Seedling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生理學報 = Plant physiology journal
ISSN 2095-110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ANG, Xi-na,CHEN, Tai-hao,WU, Yue-yan,SHI, Pei,TANG, Hong,WU, Wei-cheng,YANG, Xiao,WANG, Zhong-hua,JIAO, Cai-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일년생 홍가시나무(Photinia glabra) '루반(Luban)' 화분묘를 재료로 하여 다양한 농도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해당 식물의 생장, 생리생화학적 지표와 잎사귀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0.2%, 0.4%, 0.6%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식물은 정상적으로 생장하였으며 0.8%, 1.0%, 1.2%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식물의 생장이 억제된다. 잎사귀 최대 형광(F m ), 광학계(Optical system)II(PSII) 최초 광 에너지 변환 효율(conversion efficiency of primary light energy)(F v /F m ), 광화학 담금질 계수(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q P ), 표면 광합성 전자 전송율(electron transport rate)(ETR)은 NaCl 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데 0.8%, 1.0%, 1.2%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대조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아졌다. 엽록소a와 엽록소b 함량 및 엽록소a/b의 비율은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진다. 0.2%, 0.4%, 0.6%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잎사귀 내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POD), 카탈라아제(catalase, CAT)의 활성은 대조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아졌으며 NaCl 농도가 0.8%, 1.0%, 1.2%일 때 뚜렷하게 낮아졌다. 0.4%와 0.6%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잎사귀 내 말론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의 함량은 대조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아졌으며 0.8%, 1.0%, 1.2%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는 분명하게 높아졌다. 잎사귀 내 책상 세포(Palisade cell)는 NaCl 농도가 0.2%, 0.4%, 0.6%일 때 점차 종향으로 생장하며 배열이 더욱 긴밀해졌으며 농도가0.8%, 1.0%, 1.2%일 때 점짜 짧아지고 배열이 점차 듬성해진다. 또한 책상 구조 두께는 0.6%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홍가시나무 '루반'은 NaCl 농도가 0.6% 보다 낮은 기질에서 정상적을 생장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8063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otinia glabra,salt stress,physio-biochemical characteristics,leaf microstructure,홍가시나무,염분 스트레스,생리생화학적 특성,잎사귀 미세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