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to vegetation typ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Miao,QU, Lai-ye,MA, Ke-ming,LI, Gui-lin,YANG, Xiao-d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중국 동북부 지역에 분포된 뚜렷한 식생 수직 벨트을 이룬 활엽림-침엽림-아고산 목초지를 선택하여, 식생 유형이 토양 미생물 군락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사시나무(Populus davidiana)(1250~1300m), 사시나무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의 혼합림(1370~1550m), 자작나무(1550~1720m), 낙엽송(Larix principis-rupprechtii)(1840~1890m), 아고산 목초지(1900~1951m) 등 5가지 식생 유형을 선택하여 인지질 지방산(Phopholipid Fatty Acids, PLFAs)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식생 유형하의 토양 미생물 군락 조성을 측정하였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과 중복 분석(Redundancy Analysis, RDA)을 이용하여 PLFAs를 특징하는 분화 및 토양 물리화학적 지표와 미생물 PLFAs 지표 사이의 상관성을 각각 설명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식생 유형에서 토양 유기탄소(SOC)는 토양 미생물 PLFAs 총량, 각 군집[진균(f), 세균(b), 그램양성균(G+), 그램음성균(G-)]의 바이오매스 및 군락 구조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토양 미생물 PLFAs 총량 및 각 군집의 바이오매스는 토층이 깊어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하강 추세를 나타냈고, G+/G-와 f/b는 각각 토층이 깊어짐에 따라 상승 추세를 나타냈다. 서로 다른 식생 유형에서 활엽 혼합림의 토양 PLFAs 총량 및 각 군집 바이오매스는 전반적으로 가장 높았다. 침엽림은 활엽림보다 f/b와 G+/G-가 높았다. 아고산 목초지의 낮은 pH값은 유기탄소의 이용가능성에 어느 정도 억제 작용을 하여 f/b와 G+/G-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서로 다른 식생 유형에서 SOC가 토양 미생물의 군락 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현저했고, 비교적 낮은 pH는 유기탄소의 이용가능성에 어느 정도 억제 작용을 했다. 진균은 세균보다 식생 유형의 변화에 대해 더 민감했고 세균은 진균보다 이용가능한 양분과 pH 변화의 영향을 더 쉽게 받았다. 이는 서로 다른 임형에서 토양 미생물의 군락 조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9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LFAs,soil microbial community,vegetation,soil organic carbon,인지질 지방산,토양 미생물 군락,식생,토양 유기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