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ENG, Si-qi,GAN, Jing-jing,XIAO, Hua-shun,LIU, Fa-lin,XIAO, Bai-song,PENG, Qi-long,WU, Jiang |
초록 |
후난성(Hunan province) 칭스강(Qingshigang) 임업장의 목하 이차림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토양 특징에 대한 측정을 기반으로 하여 임목 천연갱신 지수와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8가지 임분의 갱신 상황은 차이가 있었다. 갱신 상황은 좋지 못한 것부터 좋은 것으로의 순서로 S-CP(0.46) 2) 산성 환경은 임분 갱신에 더 유리하고 임분의 양분 함량이 높을수록 임분 갱신 효과가 더 좋았으며 유기탄소, 총 질소, 총 인 함량이 높은 임분의 갱신 지수는 그 함량이 낮은 임분보다 현저히 컸고 토양 pH값, 용적밀도와 갱신 지수의 변화 규칙은 상반되었으며 총 칼륨 함량은 갱신 지수와 뚜렷한 상관성이 없었다. 3) 임분 갱신 지수는 토양 용적밀도와 현저한 부(-)상관관계(r=-0.86 * * )를 나타냈고, 토양 함수량(r=0.93 * * ), 유기탄소(r=0.90 * * ), 총 질소(r=0.88 * * ), 가수분해성 질소(r=0.83 * ), 총 인(r=0.78 * )과 현저한 정(+)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상관성은 순서에 따라 점차 약해졌다. 상관성은 서로 다른 임분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다. 갱신 상황이 중등도 수준인 임분의 상관성이 강하고 15~45cm 토층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과 갱신 지수의 상관성이 가장 강했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임분의 천연갱신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토양 특성 중, 함수량, 유기탄소, 총 질소가 그 지역 목하 이차림의 갱신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었다. 연구 결과는 삼림 지속이용가능성 및 목하 이차림의 복구와 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