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ibetan Plateau alpine meadow soil properties and enzyme activity in response to fertilization gradients in different seas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En-yu,HE, Gui-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칭짱고원 동부 가장자리 고산 목초지에서 다양한 시비(fertilization)처리가 토양의 총 영양분, 유효태양분(Available nutrient), pH, 함수량, 유기탄소와 토양 우레아제(ure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고산 목초지 토양 영양분과 효소 활성의 시비에 대한 응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1)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토양 pH는 뚜렷하게 낮아졌으며 시비로 인해 고산 목초지 토양이 산화되고 총 인, 유효인의 함량은 명확히 증가하였다. (2) 토양 내 총 질소, 유기탄소와 우레아제 활성은 시비량이 증가할 수록 단봉형 곡선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시비량이 30 혹은 60 g·m -2 일 때 토양 자원이 점차 줄어든다. (3) 계절적 변화는 토양 영양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총 질소와 총 인 함량은 9월에 비교적 높은 편이며 유효질소의 함량은 9월에 가장 높고 유효인의 함량은 5월에 가장 낮다. (4) 시비가 토양 영양분에 미치는 영향은 간단한 선형 정적 상관관계로 나태낼 수 없으며 30~60 g·m -2 의 시비량은 고산 목초지에서 가장 적합한 시비 수준이다. 시비처리를 한 후의 토양 유기탄소와 우레아제 활성을 토양 비옥도와 토양 질량 변화를 가늠하는 증요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높은 시비량(≥90 g·m -2 )은 고산 목초지 토양 영양분 및 토양효소 활성에 영양을 미치는 역가(threshold)로 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79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ibetan Plateau,alpine meadow,fertilization gradients,soil properties,soil enzyme activity,칭짱고원,고산 목초지,시비 변화도,토양 물리화학적 특성,토양효소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