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ixture of forest litter on nutrient contents and functional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y in soil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
ISSN | 1000-4890, |
ISBN |
저자(한글) | SONG, Meng-ya,LI, Zhong-pei,LIU, Ming,LIU, Man-qiang,JIANG, Chun-yu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조락물(litterfall)은 삼림 생태계의 중요한 물질 성분으로 생태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다. 조락물이 토양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생태계 기능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관리 조치를 제정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실험은 3가지 다양한 유형의 조락물, 즉 마미송(Pinus massoniana)의 솔잎, Quercus chenii의 잎, 띠(Imperata cylindrica)의 시든 줄기와 잎을 선택한 후, 해당 3가지 유형의 조락물을 수집하여 실내 배양 실험을 진행하였다. 3가지 조락물을 다양한 비율로 배합하여 10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후, 토양 무게의 1%만큼 토양에 첨가하였다. 180일 동안 배양한 후 토양 샘플을 수집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생물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조락물을 첨가한 후 토양 pH값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혼합 조락물의 첨가가 토양 pH에 미치는 영향은 단일 조락물을 첨가하였을 때에 비해 보편적으로 높았다. 조락물의 첨가는 토양 양분을 뚜렷하게 개선하였다. 그 중 토양 유기물과 전체 질소는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나 알칼리 가수분해 질소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효 칼륨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3가지 조락물로 혼합 처리하였을 때 CO 2 의 누적 방출량과 C 광물화율이 모두 가장 컸다. CO 2 누적 방출량은 상응한 단일 물질로 처리하였을 때의 가중 평균값보다 30.48% 높았으며(P 다양한 유형의 조락물 조합이 토양 형질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것은 삼림 토질의 보호, 세계 기후 변화 및 식물의 합리적인 혼합 재배 등 측면에서 지침을 제공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34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litter decomposition,nutrient cycling,carbon mineralization,enzymatic activity,microbial functional diversity,조락물 분해,양분 순환,탄소 광물화,효소 활성,미생물 기능 다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