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icrobial community and soil enzyme activities along an altitudinal gradient in Sejila mountai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I, Gui-cai,YUAN, Yan-li,WANG, Jian,XIA, Yan-qing,LEI, Tian-zhu,ZHANG, Geng-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칭짱고원(Qinghai-Tibet plateau)의 시짱 동남부(Southeast Xizang) 지역에 있는 써지라 산(Sejila mountain)의 해발이 서로 다른 삼림 토양에 초점을 두고 미생물 군집과 토양 효소 활성의 관계 및 제어를 받은 인자(controlled factor)를 토의한다. [기법] 미생물 세포막 인지질(PLFA)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 미생물 군집 구조의 해발에 따른 변화 상황을 연구하며 토양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페놀 산화효소(phenol oxidase), 프로테아제(protease), L-asparaginase, 요소분해 효소(urease) 및 산성 인산 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의 활성 및 토양 물리 화학적 성질의 해발에 따른 변화 추세를 분석한다. [결과] 토양 물리 화학적 성질 및 생화학적 지수는 해발의 증가와 더불어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예를 들어, 수분 함량, 유기 탄소, 총질소, 탄소-질소 비율, pH, 무기 탄소 및 질산성 질소, 그리고 토양 글루코시다아제, 페놀 산화효소, 프로테아제, L-asparaginase, 산성 인산 가수분해효소의 활성 등이다. 또한, 미생물 풍부도는 중봉(middle peak) 우점 분포 규칙으로 나타났으며 세균, 진균,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과 방선균의 함량이 해발 3,900 m 및 4,000 m인 위치에서의 생물량은 낮은 해발 및 더 높은 해발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퍼슨 상관관계 분석(Person correlation analysis) 결과, 토양 pH는 미생물 군집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지만, 해발 경사도에서의 온도 변화 및 미생물 군집 구조와 효소 활성은 명확한 관련성이 없었다. 또한, 유기 탄소, 전체 질소, 수용성 유기 탄소, 수용성 유기 질소 및 pH 등 물리 화학적 지수는 토양 효소 활성과 뚜렷하게 관련되었다. [결론] 시짱 동남부 써지라 산의 삼림 생태계에서 해발 경사도가 토양 미생물 군집의 구조에 주는 영향은 비교적 높았으나, 토양 물리 화학적 지수 및 생물 특징의 해발 경사도에 대한 응답은 비교적 약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1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microorganism,Soil enzyme activities,Tibet Plateau,Forest ecosystem,토양 미생물,토양 효소 활성,칭짱고원,삼림 생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