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pons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to continuous application of slow/controlled releasing ur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ING, Ji-na,LI, Dong-po,WU, Zhi-jie,CUI, Ya-lan,LI, Hui-bin,LI, Yong-hua,LI, Bo,JIAO, Xiao-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완효성/방출조절 요소 비료(slow/controlled release urea fertilizer)의 연속적인 시용이 아퀵 갈색토(aquic brown soil)의 기본 물리 화학적 성질과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속 6년 동안 다양한 완효성/방출조절 요소 비료를 시용한 옥수수(maize) 재배 토양의 기본 물리 화학적 성질과 생물학적 활성 지표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속 6년 동안 완효성/방출조절 요소 비료를 시용한 토양의 유기물질, 전체 질소, 전체 인, 유효 인, 유효 칼륨 함량은 모두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나, 전체 칼륨, 알칼리 분해 질소(alkali-hydrolyzable nitrogen) 및 pH값은 감소하였다. 완효성/방출조절 요소 비료를 지속적으로 시용하였을 때, 토양 pH의 감소 속도를 늦출 수 있었다. 완효성 요소 비료의 pH가 피복 요소( coated urea )의 pH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완효성/방출조절 비료를 시용한 토양의 우레아제(urease) 활성이 일반 요소 비료를 시용한 토양에 비해 높았다. 우레아제 억제제와 질화 억제제를 결합한 피복 요소 비료를 장기간 시용하였을 때, 질산 환원효소(nitrate reductase)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질화작용 잠재성도 활성화되었다. 피복 요소 비료는 토양 내 미생물 바이오매스 질소를 증가시켰으나, 질화 억제제를 첨가한 비료는 토양 내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를 증가시켰다. 전반적으로, 6년 동안 NBPT+DMPP+U와 PCU 비료를 지속적으로 시용한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이 기타 처리에 비해 높았다. 비료 원가와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NBPT과 DMPP을 배합한 요소 비료를 아퀵 갈색토에 지속적으로 시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2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low/controlled releasing fertilizer,continuous fertilization,soil microbial biomass,nitrification potential,soil enzymatic activity,완효성/방출조절 요소 비료,지속적 시비,미생물 바이오매스,질화작용 잠재성,토양 효소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