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ynthesis of Higenamine and its Cardiovascular Effects in Rabbit: Evidence for lt;TEX gt;${ beta}-Adrenoceptor$ lt;/TEX gt; agonis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of Pharmacology, Republic of Korea
ISSN 0377-945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ang, Ki-Churl,Lim, Jung-Kyoo,Park, Chan-Wo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6-01-01
초록 최근에 미나라아제비과 (Ranunculaceae)에 속하는 부자(Aconiti tuber)로부터 강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분리하여 Higenamine이라 명명하였고 그 작용기전을 밝히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약제로 부터 얻을 수 있는 Higenamine은 극히 미량이고 그 과정 또한 복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효성분을 대량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합성(total Synthesis)을 시도하였으며 IR, UV, NMR 및 elemental 분석등을 통하여 합성된 물질을 확인하였으며 가토에 대하여 in vivo에서 혈압, 심박동수, 호흡 및 말초저항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in vitro에서 심근수축 증강작용(positive inotropic action) 및 심박속도 증강작용(positivechronotropic action)을 관찰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igenamine은 $1-10 ;{ mu}g/kg/min$ 정맥주사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모두를 용량 의존적으로 하강시켰고 후자가 전자보다 더욱 현저하였으며 호흡은 촉진되었고 말초 혈류량은 증가되었으나 심박동수는 영향이 없었다. 2) 혈압에 대한 Higenamine의 작용은 propranolol 전처치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3) Higenamine의 catechol핵과 커다란 아미노기는 베타 수용체기 대하여 전자는 활성을 후자는 친화력과 관계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Higenamine은 adrenergic ${ beta}$ -수용체에 작용하여 그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사료 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6030395091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igenamine,beta-adrenergic receptor,positive inotropic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