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epharipoda liberate She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Blepharipoda liberate Shen의 형태학적 특성(암수의 외부 형태 차이를 포함)을 연구하여 중국 내 Blepharipoda liberate Shen 관련 데이터의 부재를 보완하고자, 이미 수집한 야생 생체에 대한 해부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성체의 구상돌기(epistome), 구기(mouthparts)의 각 구성 부분, 흉지(pereopod), 항문 및 암수 차이 등을 연구하였다. 구상돌기는 두흉부 배쪽의 첫번째, 두번째 촉각의 뒷쪽, 구기의 앞쪽에 위치하였다. 구기는 대악, 소악 및 3쌍의 악각(gnathopod)으로 구성되었는데, 대악은 단지형(uniramous)을 나타냈으며 대악 수염은 3개 마디로 구성되었다. 첫번째 소악은 단지형을 나타냈으며, 두번째 소악은 쌍지형을 나타냈다. 내지(endopodite) 즉 소악 수염은 막대기 모양을 하고 있었으며, 외지(exopodite)는 아주 발달되어 악주엽(scaphognathite)을 형성하였다. 첫번째 악각은 쌍지형을 나타냈으며 내지의 첫마디, 외지의 두번째 마디는 모두 상지를 갖고 있었다. 두번째 악각은 쌍지형을 나타냈으며 내지는 5개 마디, 외지는 3개 마디로 구성되었다. 세번째 악각은 쌍지형을 나타냈으며 내지는 5개 마디, 외지는 3개 마디로 구성되었다. 가슴다리는 4쌍으로, 모두 단지형을 나타냈는데, 첫 쌍은 집게다리(cheliped), 그 뒤의 3쌍은 보행다리(ambulatory leg)였다. 복부는 총 7마디(꼬리 마디를 포함)로 구성되었는데, 꼬리 마디에는 부속지(appendage)가 없었으며 배쪽에는 항문이 있었다. 복부에 총 6쌍의 배다리(abdominal appendage)가 있었는데, 여섯번째 배다리에 있는 1쌍의 부속지와 꼬리 마디는 공동으로 미선(tail fan)을 형성하였으며, 유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Blepharipoda liberate Shen의 유일한 유영 기관이었다. 암수 차이가 뚜렷하고, 생식공(gonopore)이 한쌍 있었는데, 암컷의 생식공은 두번째 보행다리 밑마디의 배쪽에 위치하였으며, 수컷의 생식공은 네번째 보행다리의 밑마디에 위치하였다. 새우, 게과 비교하였을 때, 가슴판(sternite)이 없었으며 두흉부의 배쪽은 새우와 더 비슷하였으나, 등쪽의 형태는 게와 더 비슷하였다. 배쪽에 게와 같은 가슴판 그루브 및 배쪽을 잠글 수 있는 고리가 없기에 배쪽이 자주 반신장(semi extension) 모양을 하고 있었다. 네번째 보행다리는 새우, 게와 뚜렷하게 다르게 배쪽의 첫번째 배마디에 위치하였다. 이 외, 관찰을 통하여 아가미 부분 및 몸체 외부 표면의 각 부위에 모두 쌍각류 연체동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2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lepharipoda liberate Shen,Anomura,Morphological characteristics,Blepharipoda liberate Shen,집게류,형태 특성